그 성에 성곽은 열두 기초석이 있고 그 위에 어린 양의 십이 사도의 열두 이름이 있더라
새 예루살렘 2
성 경: [계 21:14-27] 그 성에 성곽은 열두 기초석이 있고 그 위에 어린 양의 십이 사도의 열두 이름이 있더라
15) 내게 말하는 자가 그 성과 그 문들과 성곽을 척량하려고 금 갈대를 가졌더라
16) 그 성은 네모가 반듯하여 장광이 같은지라 그 갈대로 그 성을 척량하니 일만 이천 스다디온이요 장과 광과 고가 같더라
17) 그 성곽을 척량하매 일백사십사 규빗이니 사람의 척량 곧 천사의 척량이라
18) 그 성곽은 벽옥으로 쌓였고 그 성은 정금인데 맑은 유리 같더라
19) 그 성의 성곽의 기초석은 각색 보석으로 꾸몄는데 첫째 기초석은 벽옥이요 둘째는 남보석이요 셋째는 옥수요 넷째는 녹보석이요
20) 다섯째는 홍마노요 여섯째는 홍보석이요 일곱째는 황옥이요 여덟째는 녹옥이요 아홉째는 담황옥이요 열째는 비취옥이요 열한째는 청옥이요 열두째는 자정이라
21) 그 열두 문은 열두 진주니 문마다 한 진주요 성의 길은 맑은 유리 같은 정금이더라
22) 성 안에 성전을 내가 보지 못하였으니 이는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와 및 어린 양이 그 성전이심이라
23) 그 성은 해나 달의 비췸이 쓸 데 없으니 이는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고 어린 양이 그 등이 되심이라
24) 만국이 그 빛 가운데로 다니고 땅의 왕들이 자기 영광을 가지고 그리로 들어오리라
25) 성문들을 낮에 도무지 닫지 아니하리니 거기는 밤이 없음이라
26) 사람들이 만국의 영광과 존귀를 가지고 그리로 들어오겠고
27) 무엇이든지 속된 것이나 가증한 일 또는 거짓말하는 자는 결코 그리로 들어오지 못하되 오직 어린 양의 생명책에 기록된 자들뿐이라.
[계 21:14] 그 성에 성곽은 열두 기초석이 있고 그 위에 어린 양의 십이 사도의 열두 이름이 있더라 -
앞절에서 거룩한 성 옐살렘에 있는 열두 문에 열 두 지파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는 진술과 병행하여 본절에서는 성의 기초석 에 열 두 사도의 이름이
새겨져 있음을 언급한다.
'어린양의 십 이 사도의 열 두 이름'은 문 위에 새겨진 열 두 지파의 이름과 같이
하나님의 백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신약 시대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과 사도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세워진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의미한다 (Morris, Johnson, Mounce, Ladd).
(눅 9:12 날이 저물기 시작할 때에 열두 사도가 나아와 그분께 이르되, 무리를 보내어 그들이 마을과 주변 지역에 들어가 묵으며 양식을 얻게 하소서. 우리는 여기 외딴 곳에 있나이다, 하거늘;
요 20:24 그러나 열두 제자 중의 하나인 디두모라 하는 도마는 예수님께서 오셨을 때에 그들과 함께 있지 아니하더라;
엡 2;20 또 사도들과 대언자들의 기초 위에 세워진 자들이니라. 예수 그리스도께서 친히 으뜸 모퉁잇돌이 되시나니),
열 두 지파와 열 두 사도의 이름이 병행되어 나열된 것은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과
신약시대의 교회의 통일성을 암시하며 동시에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 상징하는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가 신약 시대와 구약 시대를 총괄하는
보편적인 것임을 시사한다(Mounce).
[계 21:15] 내게 말하는 자가 그 성과 그 문들과 성곽을 척량하려고 금 갈대를 가졌더라
본절에서 17절까지에 나타난 거룩한 성 예루살렘의 척량은
겔 40:3 이후에 나타나는 새 성전 척량을 배경으로 한다.
▶ 내게 말하는 자가 그 성과 그 문들과 성곽을 척량하려고 금 갈대를 가졌더라. -
11장에 나타난 성전 척량은 요한이 하는 반면에
본절에 나타난 성전 척량은 천사가 직접한다.
본절의 성전 척량은 하나님의 백성이 거룩하게 보존됨을 나타낸다.
또한 에스겔서의 성전 척량이 이스라엘 가운데 함께 하시는
하나님의 영광과 거룩함을 드러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겔 43:12 그 집에 대한 법규는 이러하니라. 산꼭대기 위에서 돌아가며 그것의 전체 경계가 지극히 거룩하리라. 보라, 그 집에 대한 법규가 이러하니라)
하나님의 백성이 영원히 거하는 성의 거룩함과 어린양의 신부를 위한
하나님의 계획의 완전한 성취를 시사한다(Mounce, Johnson, Hughes).
[계 21:16] 그 성은 네모가 반듯하여 장광이 같은지라 그 갈대로 그 성을 척량하니 일만 이천 스다디온이요 장과 광과 고가 같더라 -
'일만 이천 스다디온'은 1500마일(2,200km)이다.
이것은 12 × 1,000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견해는 세 가지이다.
(1) 하나님의 백성 전체를 나타내는 온전한 숫자라고 주장한다(Morris).
(2) 혹자는 성이 12각형으로 되어 있어 12 ×12,000이 되어
이스라엘의 거룩한 수인 144,000을 가리킨다고 주장한다(Farrer).
(3) 거룩한성 예루살렘의 완전함과 거대함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Beckwith, Mounce, Ladd, Johnson).
이러한 세 가지 견해 중 마지막 견해가 가장 타당한 듯하다.
한편 '장광이 같다'는 말은 성전과
(겔 45:2 이것 중에서 성소를 세울 땅은 길이가 오백 갈대, 너비가 오백 갈대(척)로 돌아가며 네모반듯하게 하고 그것의 주변 지역은 돌아가며 오십 큐빗이 되게 할지니라)
재건하는 성전(겔 48:20)에 대한 에스겔의 묘사에도 나타난다.
(겔 48:20 그 봉헌물은 총 이만 오천 갈대에 이만 오천 갈대(척)가 되리라. 너희는 네모반듯한 그 거룩한 봉헌물을 그 도시의 소유물과 함께 드릴지니라)
요한은 아마도 에스겔의 묘사를 상기했을 것이나 그것에서 더 나아가
'높이'도 '장과 광'과 같이 길이가 동일함을 기술하여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 정입방체로 되어 있음을 강조한다.
'정입방체'는 성막 안에 있던 지성소의 크기가 10 × 10 규빗이며(J.Rouw)
성전안의 지성소가 20 × 20 규빗이어서 정입방체였던 사실을 상기시킨다.
(왕상 6:20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곳의 앞부분은 길이가 이십 큐빗이요, 너비가 이십 큐빗이요, 높이가 이십 큐빗이더라. 그가 순금으로 그것을 입혔고 마찬가지로 백향목으로 된 제단에도 입혔더라)
이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이 성막이나 성전의 지성소와 마찬가지로 하나님께서 임재하시며
그의 완전한 통치가 실현되는 곳임을 시사한다(Mounce, Morris, Johnson, Ladd).
더 나아가 이러한 사실은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는 성전이 없으며
성전은 전능하신 하나님과 어린양이라는 사실과
연관되어 해석될 수 있다 (Beasley-Murray).
(22절 또 내가 그 안에서 성전을 보지 못하였으니 이는 주 하나님 전능자와 어린양께서 그 도시의 성전이시기 때문이라),
[계 21:17] 그 성곽을 척량하매 일백사십사 규빗이니 사람의 척량 곧 천사의 척량이라
'일백 사십 사 규빗'이
성곽의 높이를 가리키는지 혹은 두께를 가리키는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그것이 높이이든 두께이든 간에 그 숫자는 상징적이다.
144는 12의 제곱으로서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들과 연관되어 완전함과 안전함을 시사한다(Johnson, Morris, Mounce).
한편 '사람의 척량 곧 천사의 척량이라'는 말은
천사가 척량한 치수가 특수한 방법에 의한 계산된 치수가 아니라
사람이 척량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된 것임을 의미한다.
[계 21:18] 그 성곽은 벽옥으로 쌓였고 그 성은 정금인데 맑은 유리 같더라 -
성곽의 재질은 벽옥이다. 이 벽옥은 보좌에 앉으신 이의 모양과
(4:3 앉으신 분의 모습은 벽옥과 홍보석 같고 왕좌 둘레에 무지개가 있어 보기에 에메랄드 같더라)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 임한 하나님의 영광의 빛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다.
(11절 그 도시에 하나님의 영광이 있더라. 그것의 빛이 지극히 귀중한 보석 같고 벽옥 같으며 수정같이 맑더라).
따라서 벽옥은 하나님의 임재를 통해서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의 광채를 시사한다(Johnson, Beasley-Murray, Mounce).
한편 성의 재질은 맑은 유리와같은 정금이다.
이것은 지성소와 성소의 나머지 전체가 금으로 되어 있던 솔로몬 성정을 상기시킨다.
(왕상 6:20-22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곳의 앞부분은 길이가 이십 큐빗이요, 너비가 이십 큐빗이요, 높이가 이십 큐빗이더라. 그가 순금으로 그것을 입혔고 마찬가지로 백향목으로 된 제단에도 입혔더라.
21) 이처럼 솔로몬이 그 집의 내부를 순금으로 입히고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곳 앞에 금사슬로 칸막이를 만들어 그곳을 금으로 입히며
22) 온 집을 금으로 입혀 마침내 온 집을 완성하니라. 그가 또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곳 옆에 있던 제단의 전부를 금으로 입혔더라).
'맑은 유리와 같은 정금'은 아무런 흠과 티도 없는
신부의 순결과 아름다움을 의미한다(Beasley-Murray, Walvoord, Mounce, Johnson).
(엡 5:27 또 그것을 점이나 주름이나 그런 것이 없는 영광스런 교회로 자기를 위해 제시하려 하심이며 교회가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려 하심이라),
[계 21:19-20] 그 성의 성곽의 기초석은 각색 보석으로 꾸몄는데 첫째 기초석은 벽옥이요 둘째는 남보석이요 셋째는 옥수요 넷째는 녹보석이요
20) 다섯째는 홍마노요 여섯째는 홍보석이요 일곱째는 황옥이요 여덟째는 녹옥이요 아홉째는 담황옥이요 열째는 비취옥이요 열한째는 청옥이요 열두째는 자정이라 -
'성곽의 기초석'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열 두 사도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열 두 개의 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14절 그 도시의 성벽에는 열두 기초석이 있고 그것들 안에 어린양의 열두 사도의 이름들이 있더라).
이 열 두 개의 보석에 대한 견해는 세 가지이다.
(1) 두로 왕의 옷에 치장된 보석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있다(겔 28:13).
히브리 성서 본문(MT)에는 아홉 가지 보석만 나타나나
70인역에는 열 두 가지 보석으로 나타나고 있다.
(2) 혹자는 필로(Philo)와 요세푸스(Josephus)가 언급한 것처럼
황도대(黃道帶)를 이루고 있는 12궁(宮)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Charles, Morris, Caird).
이들은 요한이 황도대와 순서를 거꾸로 기술하여
이교도의 예배식을 비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3) 비록 순서는 다르다 할지라도 출 28:17-20에 나타난 대제사장의
흉배를 가리킨다고 주장한다(Johnson, Beasley-Murray, Mounce, Swete, Ford).
이것은 하나님의 모든 약속이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서 성취되며
(요 4:21 예수님께서 그녀에게 이르시되, 여자여, 내 말을 믿으라. 너희가 이 산도 아니고 예루살렘도 아닌 곳에서 아버지께 경배할 때가 이르느니라)
구약 시대에 오직 대제사장에게만 주어졌던 권한들이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서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도 주어지고 있음을 암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견해와 본문의 보석을 연결하여 도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본 문 | 두로왕 옷의 보석 |
황도대의 12궁 | 대제사장의 흉배 |
벽 옥 | 홍 보 석 (sardius) | 자 수 정 - 백 양 궁 (Ram) | 홍보석 |
남보석 | 담 황 옥 (topaz) | 청 옥 - 금 우 궁 (Bull) | 황 옥 |
옥 수 | 녹 보 석 (emerald) | 비 취 옥 - 쌍 자 궁 (Twins) | 녹주옥 |
녹보석 | 석 류 석 (carbuncle) | 담 황 옥 - 거 해 궁 (Crab) | 석류석 |
홍마노 | 남 보 석 (sapphire) | 녹 옥 - 사 자 궁 (Lion) | 남보석 |
홍보석 | 벽 옥 (jasper) | 황 옥 - 처 녀 궁 (Virgin) | 홍마노 |
황 옥 | 히아신스석 (ligure) | 홍 보 석 - 천 칭 궁 (Balance) | 호 박 |
녹 옥 | 마 노 (agate) | 홍 마 노 - 전 갈 궁 (Scorpion) | 백마노 |
담황옥 | 자 수 정 (amethyst) | 녹 보 석 - 인 마 궁 (Archer) | 자수정 |
비취옥 | 황 옥 (chrysolite) | 옥 수 - 마 갈 궁(Goat) | 녹보석 |
청 옥 | 녹 옥 (beryl) | 남 보 석 - 보 병 궁(Water - Carrier) | 호마노 |
녹 옥 | 줄 마 노 (onyx) | 벽 옥 - 쌍 어 궁 (Fishes) | 벽 옥 |
이러한 세 가지 견해 중 마지막 견해가 가장 타당한 듯하다.
왜냐하면 첫째 견해의 경우 사단을 상징하는 두로 왕과
거룩한 성 예루살렘의 기초석을 비교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Feinberg, Gaebelein),
둘째 견해의 경우 이교도의 예배식을 비난하기 위하여
당시의 점성학에서 비롯된 황도대를 이용했다는 것 역시 불확실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