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中, 늘어나는 쓰레기 처리 골치
연간 쓰레기 발생 3억톤 이상… 세계 최대
환경문제 불구, 소각장 건립에 치중
환경문제 불구, 소각장 건립에 치중
중국의 도시계획 담당자들이 당면한 난제 가운데 하나는 지난 10년간 중산층이 늘어나고 두 자릿수의 경제성장을 지속해온 결과가 가져온 '쓰레기 처리' 문제라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가 10일 베이징발로 보도했다.
음식물 찌꺼기에서 건축폐기물, 플라스틱 포장지에 이르기 까지 대부분 쓰레기는 매립하고 있으나 정책 담당자들은 쓰레기 분량이 늘어남에 따라 주민과 환경단체의 일부 반발에도 불구하고 소각 시설을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베이징의 경우 도시구역이 확대되면서 예전에 교외에 위치했던 쓰레기 매립지가 도시 한가운데로 들어오게 됐다.
중국의 1인당 쓰레기 발생량은 미국 등에 비해 훨씬 적지만 연간 3억톤 이상에 달하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은 세계 최대 규모이다.
베이징의 2천만 시민이 매일 쏟아내는 쓰레기는 2만3천톤으로 올림픽 규격 수영장 9개를 물로 가득 채운 무게와 같다.
수입이 늘어나고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지난 수십년간 중국의 쓰레기 증가량은 인구 증가율보다 2배나 빨랐다.
베이징을 비롯 폐기물 관리가 잘 되고 있는 도시들 조차 늘어나는 쓰레기 처리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
중국정부 통계에 따르면 2005~2010년 기간 베이징의 하루 쓰레기 수거량은 처리가능 수준보다 평균 3천900톤을 초과하고 있다.
베이징 교외 퉁저우 같이 외진 곳은 수년간 쓰레기 불법 투기가 공공연히 행해졌다.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문제삼자 중국 정부는 2010년 100억 위안 예산으로 불법 매립지 정리와 신규 시설 건립에 나섰다.
중국 도시건설설계연구소의 쉬 하위윈 수석 연구원은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한 곳은 수거 시스템이 아직 안갖춰져있는 시골 지역이라면서 쓰레기로 인한 환경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내 대도시들은 쓰레기 소각을 선호하고 있어 향후 30년간 전국에 90여개의 소각장을 건립, 이곳으로 부터 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매립지의 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에도 투자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2010년 전체 쓰레기의 10%만을 소각 처리했으나 2015년에는 4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하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소각장을 건설하고 있다.
쓰레기처리업체들은 중국정부가 소각시설을 선호하는 것은 소각장 건설 승인이 까다로운 미국과는 대조적이라고 말한다.
글로벌 기업이면서 중국내 4개 소각시설을 일부 소유하고 있는 코반타 에너지의 최고 재무책임자 산지브 카트리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보면 재생에너지를 얻을수 있는 소각장에 치중하려는 중국정부의 노력은 훌륭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해결책은 도시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폐기물분야 전문가인 니에 용펑 전(前) 칭화대학 교수는 "도시 쓰레기 문제에 대처하려면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쓰레기 감소와 재활용, 관리가 이뤄져야한다"면서 "쓰레기 처리에만 집중하면 문제를 해결할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당국이 쓰레기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지만 한때 들판이었으나 산과도 같은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로 변한 퉁저우 주변 주민들은 이제 한숨 돌릴수 있게 됐다.
한 주민의 말처럼 매립지가 여유 공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차버렸기 때문이다.
음식물 찌꺼기에서 건축폐기물, 플라스틱 포장지에 이르기 까지 대부분 쓰레기는 매립하고 있으나 정책 담당자들은 쓰레기 분량이 늘어남에 따라 주민과 환경단체의 일부 반발에도 불구하고 소각 시설을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베이징의 경우 도시구역이 확대되면서 예전에 교외에 위치했던 쓰레기 매립지가 도시 한가운데로 들어오게 됐다.
중국의 1인당 쓰레기 발생량은 미국 등에 비해 훨씬 적지만 연간 3억톤 이상에 달하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은 세계 최대 규모이다.
베이징의 2천만 시민이 매일 쏟아내는 쓰레기는 2만3천톤으로 올림픽 규격 수영장 9개를 물로 가득 채운 무게와 같다.
수입이 늘어나고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지난 수십년간 중국의 쓰레기 증가량은 인구 증가율보다 2배나 빨랐다.
베이징을 비롯 폐기물 관리가 잘 되고 있는 도시들 조차 늘어나는 쓰레기 처리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
중국정부 통계에 따르면 2005~2010년 기간 베이징의 하루 쓰레기 수거량은 처리가능 수준보다 평균 3천900톤을 초과하고 있다.
베이징 교외 퉁저우 같이 외진 곳은 수년간 쓰레기 불법 투기가 공공연히 행해졌다.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문제삼자 중국 정부는 2010년 100억 위안 예산으로 불법 매립지 정리와 신규 시설 건립에 나섰다.
중국 도시건설설계연구소의 쉬 하위윈 수석 연구원은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한 곳은 수거 시스템이 아직 안갖춰져있는 시골 지역이라면서 쓰레기로 인한 환경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내 대도시들은 쓰레기 소각을 선호하고 있어 향후 30년간 전국에 90여개의 소각장을 건립, 이곳으로 부터 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매립지의 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에도 투자하고 있다.
베이징시는 2010년 전체 쓰레기의 10%만을 소각 처리했으나 2015년에는 4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하에 아시아 최대 규모의 소각장을 건설하고 있다.
쓰레기처리업체들은 중국정부가 소각시설을 선호하는 것은 소각장 건설 승인이 까다로운 미국과는 대조적이라고 말한다.
글로벌 기업이면서 중국내 4개 소각시설을 일부 소유하고 있는 코반타 에너지의 최고 재무책임자 산지브 카트리는 "정책적인 측면에서 보면 재생에너지를 얻을수 있는 소각장에 치중하려는 중국정부의 노력은 훌륭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해결책은 도시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폐기물분야 전문가인 니에 용펑 전(前) 칭화대학 교수는 "도시 쓰레기 문제에 대처하려면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쓰레기 감소와 재활용, 관리가 이뤄져야한다"면서 "쓰레기 처리에만 집중하면 문제를 해결할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당국이 쓰레기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지만 한때 들판이었으나 산과도 같은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로 변한 퉁저우 주변 주민들은 이제 한숨 돌릴수 있게 됐다.
한 주민의 말처럼 매립지가 여유 공간이 거의 없을 정도로 차버렸기 때문이다.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륙 갑부의 흥망성쇠 잔혹사 (0) | 2015.12.17 |
---|---|
왜곡된 中역사 지도 봤더니 한반도 허리까지… (0) | 2012.06.10 |
中, 감시선·항공기 정기순찰 이어도 포함 (0) | 2012.03.10 |
중국 지식인들도 탈북자 송환에 반대 목소리 (0) | 2012.03.06 |
중국 잣대로 본 세계경제 국가등급 (0) | 201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