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막 본체를 위한 널판과 은받침 및 띠
성 경: [출 26:15-30] 너는 조각목으로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어 세우되
16) 각 판의 장은 십 규빗, 광은 일 규빗 반으로 하고
17) 각 판에 두 촉씩 내어 서로 연하게 하되 너는 성막 널판을 다 그와 같이 하라
18) 너는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되 남편을 위하여 널판 스물을 만들고
19) 스무 널판 아래 은받침 마흔을 만들지니 이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고 저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찌라
20) 성막 다른 편 곧 그 북편을 위하여도 널판 스물로 하고
21) 은받침 마흔을 이 널판 아래에도 두 받침, 저 널판 아래에도 두 받침으로 하며
22) 성막 뒤 곧 그 서편을 위하여는 널판 여섯을 만들고
23) 성막 뒤 두 모퉁이 편을 위하여는 널판 둘을 만들되
24)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각기 두겹 두께로 하여 윗고리에 이르게 하고 두 모퉁이 편을 다 그리하며
25) 그 여덞 널판에는 은받침이 열여섯이니 이 판 아래에도 두 받침이요 저 판 아래에도 두 받침이니라
26) 너는 조각목으로 띠를 만들지니 성막 이편 널판을 위하여 다섯이요
27) 성막 저편 널판을 위하여 다섯이요 성막 뒤 곧 서편 널판을 위하여 다섯이요
28) 널판 가운데 있는 중간 띠는 이 끝에서 저 끝에 미치게 하고
29) 그 널판들을 금으로 싸고 그 널판들의 띠를 꿸 금고리를 만들고 그 띠를 금으로 싸라
30) 너는 산에서 보인 식양대로 성막을 세울지니라.
[출26:15-16] 너는 조각목으로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어 세우되
16) 각 판의 장은 십 규빗, 광은 일 규빗 반으로 하고
▶ 널판 - 즉 성막의 본체를 이루는 널판을 가리킨다.
성막의 형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립식 널판이 필요했는데, 따라서 은받침 위에 널판이 세워지고 그 위에 앙장이 드리워짐으로써 성막이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널판은 두 촉에 의해 각각 두 은받침에 견고하게 꽂혀 있었는데 널판의 규격은 길이 4. 56m, 너비 68. 4cm로 모두 48개가 필요했다.
또한 각 널판은 법궤처럼 조각목으로 만들어져 그 위에 정금으로 덧입혀졌다. 이 널판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비바람에 성막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것이었다.
[출 26:17] 각 판에 두 촉씩 내어 서로 연하게 하되 너는 성막 널판을 다 그와 같이 하라
▶ 촉 - 한쪽 끌을 다른 쪽 구멍에 맞추기 위하여 얼마쯤 가늘게 만든 장부(tenon)를 가리킨다.
널판 아래에 뾰족하게 나와 은받침(19절)과
(19절 스무 널판 아래 은받침 마흔을 만들지니 이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고 저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찌라)
함께 요철을 이루어 널판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했다.
▶ 서로 연하게 하되 - 널판을 옆으로 옆으로 연결시키라는 뜻이다.
[출 26:18] 너는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되 남편을 위하여 널판 스물을 만들고
▶ 남편을 위하여 널판 스믈 - 널판 하나의 너비는 1규빗 반(68. 4cm)이니(16절), 성막 본체의 총길이는 30규빗(약 13. 7m)이었음을 알수 있다.
(6절 금 갈고리 오십을 만들고 그 갈고리로 앙장을 연합하여 한 성막을 이룰지며).
[출 26:19] 스무 널판 아래 은받침 마흔을 만들지니 이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고 저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찌라
▶ 은받침 - 널판을 고정시켜 주는 일종의 주춧돌이다.
그런데 은받침 하나를 만드는데 은 1달란트가 들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그 모양이 어떻게 생겼었는지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다.
(38:27 은 일백 달란트로 성소의 판장 받침과 문장 기둥 받침 합 일백을 부어 만들었으니 매 받침에 한 달란트씩 합 일백 달란트요)
[출 26:20-21] 성막 다른 편 곧 그 북편을 위하여도 널판 스물로 하고
21) 은받침 마흔을 이 널판 아래에도 두 받침, 저 널판 아래에도 두 받침으로 하며
▶ 북편을 위하여도 - 이로써 성막 본체는 그 좌우 벽이 완성되었고 이제 남은 것이라고는 성막 뒷편(서편)의 벽뿐인 셈이다. 왜냐하면 성막의 전면(동편)은 출입구로서 별다른 벽이 필요 없었기 때문이다.
[출 26:22] 성막 뒤 곧 그 서편을 위하여는 널판 여섯을 만들고
▶ 서편을 위하여는 널판 여섯 - 따라서 성막 본체의 내부 너비는 대략 9규빗(약4. 1m)이었음을 알 수 있다.
[출 26:23-24] 성막 뒤 두 모퉁이 편을 위하여는 널판 둘을 만들되
24)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각기 두겹 두께로 하여 윗고리에 이르게 하고 두 모퉁이 편을 다 그리하며
▶ 모퉁이 판을 위하여는 널판 둘 - 성막의 모퉁이 부분은 좌우의 널판과 뒷편의 널판이 만나는 지점이다. 따라서 그 지점에는 널판 하나씩을 더 대어 견고성을 보강하였다.
[출 26:25] 그 여덞 널판에는 은받침이 열여섯이니 이 판 아래에도 두 받침이요 저 판 아래에도 두 받침이니라
▶ 은받침이 열 여섯이니 - 따라서 은 받침은 좌우 널판 밑에 각40개씩 합80개
(19절 스무 널판 아래 은받침 마흔을 만들지니 이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고 저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찌라).
본절의 16개, 네 기둥 밑의 4개
(32절 금 갈고리로 네 기둥 위에 드리우되 그 네 기둥을 조각목으로 만들고 금으로 싸서 네 은받침 위에 둘지며),
총 100개나 된다.
[출 26:26-27] 너는 조각목으로 띠를 만들지니 성막 이편 널판을 위하여 다섯이요
27) 성막 저편 널판을 위하여 다섯이요 성막 뒤 곧 서편 널판을 위하여 다섯이요
▶ 띠를 만들지니 - 널판 사이에 생기는 틀을 막고 널판을 서로 단단히 연결 시키는데 필요한 장치이다. 이 띠는 성막 입구를 제외한 각 방향에 5개씩 가로로 부착되었다. 그러나 정확한 모양과 부착 방법, 간격 등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
[출 26:28] 널판 가운데 있는 중간 띠는 이 끝에서 저 끝에 미치게 하고
▶ 중간 띠 - 이 띠는 성막의 벽 전체를 하나로 묶는 작용을 한다.
[출26:30] 너는 산에서 보인 식양대로 성막을 세울지니라.
▶ 산에서 보인 식양대로 - 25:9, 40에 이어 재차 강조되고 있는 사항으로,
(25:9 무릇 내가 네게 보이는 대로 장막의 식양과 그 기구의 식양을 따라 지을지니라,
40 너는 삼가 이 산에서 네게 보인 식양대로 할지니라)
성막과 그 제반 기구들은 반드시 하나님께서 보여 주신 모형대로 만들어야 함을 일깨워 준다.
그 까닭은
(1)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처인 성막을 인간이 임의적으로 만듦으로써 행여 하나님의 영광과 신성을 가리우지 않게 하기 위함이며
(2)성막의 각 기구들은 예수 그리스도 및 그의 사역을 예표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를 잘못되게 만들면 그 정확한 예표론적 의미가 상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생과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을 만들되 네모 반듯하게하며 (0) | 2016.06.21 |
---|---|
청색 자색 홍색실과 가늘게 꼰 베실로 짜서 장을 만들고 (0) | 2016.06.20 |
성막을 덮는 막 곧 앙장을 염소털로 만들되 (0) | 2016.06.18 |
너는 성막을 만들되 앙장 열 폭을 (0) | 2016.06.17 |
너는 정금으로 등대를 쳐서 만들되 (0) | 2016.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