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engol 2

그러나 패역한 자와 죄인은 함께 패망하고 여호와를 버린 자도 멸망할 것이라

거듭난 삶 2022. 1. 10. 00:03
728x90

심판 후의 구속

 

성 경: [1:24-31] 그러므로 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전능자가 말씀하시되 슬프다 내가 장차 내 대적에게 보응하여 내 마음을 편케 하겠고 내 원수에게 보수하겠으며

25) 내가 또 나의 손을 네게 돌려 너의 찌끼를 온전히 청결하여 버리며 너의 혼잡물을 다 제하여 버리고

26) 내가 너의 사사들을 처음과 같이, 너의 모사들을 본래와 같이 회복할 것이라 그리한 후에야 네가 의의 성읍이라, 신실한 고을이라 칭함이 되리라 하셨나니

27) 시온은 공평으로 구속이 되고 그 귀정한 자는 의로 구속이 되리라

28) 그러나 패역한 자와 죄인은 함께 패망하고 여호와를 버린 자도 멸망할 것이라

29) 너희가 너희의 기뻐하던 상수리나무로 인하여 부끄러움을 당할 것이요 너희가 너희의 택한 동산으로 인하여 수치를 당할 것이며

30) 너희는 잎사귀 마른 상수리 나무 같을 것이요 물 없는 동산 같으리니

31) 강한 자는 삼오라기 같고 그의 행위는 불티 같아서 함께 탈 것이나 끌 사람이 없으리라.

 

 

 

[1:24] 그러므로 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전능자가 말씀하시되 슬프다 내가 장차 내 대적에게 보응하여 내 마음을 편케 하겠고 내 원수에게 보수하겠으며 -

 

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전능자 - 하나님의 성호에 대한 다양한 표현을

이처럼 한데 모아 놓은 곳은 이곳 외에 없다.

 

''(하아돈)라는 명칭은 본서에서 '만군의 여호와'와 결합되어

위협과 징벌을 가하는 경우에 쓰인다.

 

(3:1 보라, 주 곧 만군의 주께서 예루살렘과 유다로부터 의지하는 것과 의뢰하는 것 즉 그들이 의지하는 모든 빵과 의지하는 모든 물과;

 

10:16 그러므로 주 곧 만군의 주가 그의 살진 자들 가운데 야위게 하는 것을 보내며 불이 붙는 것 같이 그의 영광 밑에서 불이 붙게 하리라,

 

33 보라, 주 곧 만군의 주가 두려움으로 그 가지를 꺾으리니 키 큰 자들이 찍혀 쓰러지고 오만한 자들이 겸손해질 것이요;

 

19:4 또 내가 이집트 사람들을 잔인한 군주의 손에 넘겨주리니 포악한 왕이 그들을 다스리리라. 주 곧 만군의 주가 말하노라).

 

'이스라엘의 전능자'라는 이름은

하나님의 권위있는 통치에 강조점을 둔 것으로 창 49:24;132:2, 5 등에서는

'야곱의 능하신 이'라고도 표현되었다.

 

(49:26 내가 너를 학대하는 자들로 하여금 자기 살을 먹게 하며 달콤한 포도주에 취하는 것 같이 자기 피에 취하게 하리니 모든 육체가 나 주는 네 구원자요, 네 구속자요, 야곱의 능하신 이인 줄 알리라;

 

60:16 네가 또한 이방인들의 젖을 빨며 왕들의 젖가슴을 빨고 또 나 주가 네 구원자요, 네 구속자요, 야곱의 능하신 이인 줄 알리라).

 

70인역(LXX)에서는 이것 대신 '야곱의 전능자'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선지자는 이 세 가지 이름을 한데 묶음으로써

여호와의 무한한 엄위와 전능하심을 최고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그 뒤에 이어질 말씀들이 매우 중요하며

반드시 이루어지고야 말 것임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말씀하시되'(네움)라는 동사에서 한결 분명해진다.

 

 

말씀하시되 - '네움'은 비밀스럽고 중요한 사실을 말할 때

주로 사용되는 말이다.

(22:16에서 처음 나오고 렘, 겔에서 자주 등장함).

 

 

 

[1:25] 내가 또 나의 손을 네게 돌려 너의 찌끼를 온전히 청결하여 버리며 너의 혼잡물을 다 제하여 버리고

 

나의 손을 내게 돌려 - '손을 되돌린다'는 표현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특별히 개입,

간섭하실 것을 나타내는 말이다.

 

(6:9 만군의 주가 이같이 말하노라. 그들이 포도를 따듯 이스라엘의 남은 자를 철저히 주워 모으리라. 포도 따는 자같이 네 손을 바구니로 거두어들이라;

 

38:12 노략물을 취하고 탈취물을 취하리라, 하고 네 손을 돌이켜서 전에는 황폐하였다가 지금은 사람이 거주하는 곳들과 또 민족들에게서 나와 모여 지내며 가축과 재물을 얻고 그 땅의 한가운데 거하는 백성 위에 두리니;

 

1:8 내가 또 아스돗에서 그 거주민을, 아스글론에서 홀 잡은 자를 끊고 또 내 손을 돌려 에그론을 치리니 블레셋 사람들의 남은 자가 멸망하리라. 주 하나님이 말하노라).

 

하나님의 간섭은 찌끼를 태우고 혼잡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표출된다.

몇몇 주석가들은 이것을 징벌의 차원에서만 바라본다.

그러나 '아쉬바'라는 동일한 동사로 시작되는 26절과 비교해 볼 때

회복의 의미가 더 강한 듯하다.

 

 

너의 찌끼를 온전히 청결하여 버리며 문자적으로는

'잿물처럼 너의 찌끼를 녹이고'이다.

하나님은 마치 잿물을 가지고 은에서 납 성분을 녹이듯이,

예루살렘의 경건치 못한 자들을 쓸어버리시겠다는 것이다.

 

 

 

[1:26] 내가 너의 사사들을 처음과 같이, 너의 모사들을 본래와 같이 회복할 것이라 그리한 후에야 네가 의의 성읍이라, 신실한 고을이라 칭함이 되리라 하셨나니

 

너의 사사들을 처음과 같이, 너의 모사들을 본래와 같이 - '사사들''모사들'

권력을 쥐고 있는 관원들과 방백들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하다.

하나님의 정화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불순물이 제거된 뒤에

예루살렘은 21절 상반절에 기록된 대로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아 갈 것이다.

 

다윗과 솔로몬의 시대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평화의 구현기요 메시아적 통치의 예표로서 상징된다.

 

그러면 이러한 예루살렘의 회복은 언제 이루어질 것인가?

가까운 미래에 있어서 어쩌면 그것은 유다 민족이 바벨론 포로에서 풀려나

팔레스틴에 귀환할 때 이들을 지도한 스룹바벨이나 에스라와 느헤미야 같은

지도자들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그것은

하나님의 다스림이 완전히 실현되는 미래에 이루어질 것이다.

 

(24:23 그때에 달이 당황하고 해가 부끄러워할 것이요, 만군의 주께서 시온 산과 예루살렘에서 자신의 원로들 앞에서 영광스럽게 통치하시리로다).

 

 

 

[1:27] 시온은 공평으로 구속이 되고 그 귀정한 자는 의로 구속이 되리라

 

귀정(歸正)한 자 - KJV는 이것을 범죄로부터 돌아선 자라는 뜻의

'개종자들(converts)로 번역하였다.

그리고 랑게(Lange)'포로에서 귀환하는 자들'에게

이것을 적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것을 이중적 전망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즉 가까운 미래에서는 '포로에서 풀려난 자들',

그리고 먼 미래에서는 '죄로부터 구속된 성도들'로 이해하는 것이다.

 

 

 

[1:28] 그러나 패역한 자와 죄인은 함께 패망하고 여호와를 버린 자도 멸망할 것이라 -

 

25절과 관련하여 정련 과정의 반대 측면,

즉 찌끼와 혼잡물의 운명이 제시된다(Lange).

 

그들의 운명을 강조하는 듯이 '패망'(쉐베르)이란 명사가 문장의 맨 앞에 나온다.

히브리어 원문대로 읽으면 다음과 같다:

 

'파멸, 패역한 자들과 죄인들은 모두 함께. (그리고) 여호와를 버린 자들은 종말에 이르리라.'

 

 

 

[1:29] 너희가 너희의 기뻐하던 상수리나무로 인하여 부끄러움을 당할 것이요 너희가 너희의 택한 동산으로 인하여 수치를 당할 것이며

 

상수리나무로 인하여 부끄러움을 당할 것이요 너희가 너희의 택한 동산 선지자는

부분을 들어 전체를 나타내는 수법으로

'상수리나무'(엘림)'동산'(가노트)을 들어 당시에 편만해 있던

모든 유()의 거짓된 우상 숭배를 표현한다.

 

류폴드(Leupold)는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기를,

이것들은 두 가지 방식의 우상 숭배,

, 나무 숭배 의식(tree- cult)과 동산 숭배 의식(garden-cult)

언급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나무에 관하여는

 

(57:5 너희가 모든 푸른 나무 밑에서 우상들과 더불어 너희 자신을 불태우며 바위 낭떠러지 밑의 계곡에서 자녀들을 죽이는도다;

 

왕하 16:4 또 여러 산당과 작은 산 위와 모든 푸른 나무 밑에서 희생물을 드리며 분향하였더라;

 

2:20 옛적에 내가 네 멍에를 꺾고 네 결박을 끊으매 네가 이르기를, 내가 범법하지 아니하리라, 하더니 네가 모든 높은 산 위와 모든 푸른 나무 아래로 돌아다니며 창녀 짓을 행하는도다;

 

3:6 요시야 왕 시대에 주께서 또 내게 이르시되, 타락한 이스라엘이 행한 것을 네가 보았느냐? 그녀가 모든 높은 산에 오르며 모든 푸른 나무 아래로 가서 거기서 창녀 짓을 행하였도다;

 

17:2 그들의 자녀들이 높은 산들 위의 푸른 나무들 곁에 있는 그들의 제단들과 그들의 작은 숲들을 기억하는도다;

 

6:13 그들의 죽임 당한 자들이 그들의 제단들 사방에 있는 그들의 우상들 가운데와 모든 높은 언덕과 산들의 모든 꼭대기와 모든 푸른 나무 아래와 모든 굵은 상수리나무 아래 즉 그들이 자기들의 모든 우상에게 향기로운 냄새를 드리던 곳에 있으리니 그때에 내가 주인 줄을 너희가 알리라;

 

4:13 그들이 산꼭대기에서 희생물을 드리며 작은 산 위에서 분향하되 상수리나무와 포플러나무와 느릅나무 밑에서 하나니 이는 그것들의 그늘이 좋기 때문이라. 그러므로 너희 딸들은 행음하며 너희 배우자들은 간음하리로다),

 

 

동산에 관하여는

 

(65:3 곧 동산에서 희생물을 드리고 벽돌 제단에서 분향하며 내 얼굴 앞에서 계속 내 분노를 일으키는 백성이라;

 

66:17 자기를 거룩하게 구별하고 동산 한가운데 있는 나무 뒤에서 자기를 정결하게 하며 돼지고기를 먹고 가증한 것과 쥐를 먹는 자들이 함께 소멸되리라. 주가 말하노라).

 

 

 

[1:30] 너희는 잎사귀 마른 상수리나무 같을 것이요 물 없는 동산 같으리니

 

잎사귀 마른 상수리나무 같을 것이요 물 없는 동산 - 늘 푸른 나무와

물기 어린 동산처럼 그렇게 번성하기를 꿈꾸면서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에게 달려간 그들은

허무한 우상의 결국만큼이나 자신들도

헛되이 비참함에 이르고야 말 것이다(Alexander).

 

그러나 생명의 원천이신 여호와를 택하고

그로 즐거워하는 자들의 운명은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시절을 좇아 과실을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 행사가 다 형통할'(1:3) 것이다.

 

선지자가 종말론적 구원의 표상과 관련하여

동산에서 물이 넘칠 것을 노래한 구절로는 35:6, 7;41:18;44:3;48:21;66:12 등이 있다.

 

(35:6-7 그때에 다리 저는 자는 사슴같이 뛰고 말 못하는 자의 혀는 노래하리니 광야에서 물들이 터져 나오고 사막에서 시내가 흐르며

7) 또 바싹 마른 땅이 연못이 되고 메마른 땅이 물들의 샘이 되며 용들이 각각 누워 거하던 곳에서 풀과 갈대와 골풀이 함께 자라리라;

 

41:18 내가 높은 곳에 강을 내고 골짜기 한가운데 샘들을 내며 광야를 물 연못이 되게 하고 마른 땅을 물이 흐르는 샘이 되게 하리라;

 

44:3 내가 목마른 자에게 물을 부어 주며 마른 땅에 큰물들을 내고 내 영을 네 씨에게 내 복을 네 후손에게 부어 주리니;

 

48:21 그분께서 사막 사이로 그들을 인도하실 때에 그들이 목마르지 아니하게 하시되 그들을 위하여 반석에서 물이 흘러나오게 하시며 또 반석을 쪼개사 물이 솟아나게 하셨느니라;

 

66:12 주가 이같이 말하노라. 보라, 내가 그녀에게 화평을 강같이, 이방인들의 영광을 흐르는 시내같이 넘치게 주리니 그때에 너희가 젖을 빨며 또 그녀의 옆구리에 안기고 그녀의 무릎에서 춤을 추리라)

 

 

 

[1:31] 강한 자는 삼오라기 같고 그의 행위는 불티같아서 함께 탈 것이나 끌 사람이 없으리라.

 

강한 자는 삼오라기 같고 그의 행위는 - '강한 자'(헤하손)

불법한 통치자(아마도 '우상 숭배를 조성한 지도자', Leupold)이며,

 

'그의 행위'(포알로)

인간의 손으로 빚어진 우상을 의미한다.

 

(혹은 '안녕을 도모하는 그 수단과 고안물', Vitringa;

'우상 숭배하는 행위', Lange)

 

우상은 불티와 같아서 그것을 따라가는 자에게 재앙만을 야기 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