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계시록의 중요한 서론적 글 5

거듭난 삶 2023. 3. 12. 00:03
728x90

다섯 번째 긴장(하나님의 왕국이 현재적이면서도 미래적임)

 

하나님의 왕국이 현재적이면서도 미래적이다.

이 신학적 역설은 종말론에 있어서 핵심적인 내용이다.

 

만일 우리가 이스라엘에 대한 구약의 모든 예언이

문자적으로 성취될 것을 예상한다면,

주로 이스라엘이 지리적으로 그곳에 회복되는 것에서

하나님의 왕국이 성취됨을 찾게 될 것이며,

또 그러한 신학적 강조점을 가질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5 장에서 교회의 비밀스런 휴거가 일어남을

또 나머지 장들은 이스라엘과 관련을 가짐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계 22:16 의 설명을 보라).

 

(22:16 나 예수는 내 천사를 보내어 교회들 안에서 이것들을 너희에게 증언하게 하였노라. 나는 다윗의 뿌리요 후손이요 빛나는 새벽별이라, 하시더라)

 

 

한편, 만일 촛점이 약속된 구약의 메시아에 의해 왕국이 시작됨에 있다면,

그 경우에는 이것이 그리스도의 초림과 더불어 임하고

따라서 초점이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삶과 가르치심과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놓이게 된다.

 

또 신학적 강조점을 현재의 구원에 두게 된다.

왕국이 임하였고,

그리스도께서 천년 동안 어떤 이들을 다스리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에게 구원을 제공하심에서 구약이 성취된다!

 

성경이 그리스도께서 두 번 오심을 말씀하는 것이 분명하지만,

어디에 그 강조점이 놓여 있는가?

 

나는 구약의 대부분의 예언은

초림 즉 메시아의 왕국이 세워짐에 집중하고 있다고 본다.

 

*참조 : (2 )

 

여러 면에서 이것은 하나님의 영원한 통치와 같은 내용이다.

 

*참조 : (7 ).

 

 

구약에서는 촛점을 하나님의 영원한 통치에 두지만,

그 통치가 이루어지는 방법은 메시아의 사역을 통하여서다.

 

(고전 15:26-27 멸망 받을 마지막 원수는 사망이니라.

27) 그분께서 모든 것을 그분의 발아래 두셨으나 그분께서 모든 것을 그분 아래 두셨다고 말씀하실 때에 모든 것을 그분 아래 두신 분은 예외인 것이 분명하도다).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것이 진리인가는 옳은 질문이 아니다.

둘 다 진리이기 때문이다.

 

바른 질문은 강조점이 어디에 있는가 이다.

 

 

다음 사실을 분명히 해 두어야만 하겠다:

 

어떤 해석가들은 메시아께서 천년 동안 다스리시는 것을

너무 강조한 나머지

 

*참조 : (20 )

 

성부께서 영원토록 다스리심을 말하는 성경의 강조점을 놓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 다스리심은 선행적인 사건이다.

구약에서 그리스도께서 두 번 오심이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듯이,

메시아의 통치가 일시적인 것인가 아닌가의 여부도 명확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예수님의 설교와 가르치심에서 그 핵심은 하나님의 나라에 있었다.

이것은 현재적(구원과 섬김에 있어서)이며

동시에 미래적(견고함과 능력의 면에서)이다.

 

만일 계시록이 메시아의 천년왕국에 초점을 두는 것이라면

 

*참조 : (20 ),

 

그 왕국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선행적인 것이다.

 

*참조 : (21-22 ).

 

구약에서 일시적인 통치를 필요로하는지는 불분명하다.

사실상 다니엘서 7 장에 나오는 메시아의 통치는 영원한 것이지

천년의 통치에 대한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