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의 환궁(還宮)과 요압의 간청
성 경: [삼하 19:1-8] 혹이 요압에게 고하되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울며 슬퍼 하시나이다 하니
2) 왕이 그 아들을 위하여 슬퍼한다 함이 그 날에 백성들에게 들리매 그 날의 이김이 모든 백성에게 슬픔이 된지라
3) 그 날에 백성들이 싸움에 쫓겨 부끄러워 도망함 같이 가만히 성으로 들어가니라
4) 왕이 얼굴을 가리우고 큰 소리로 부르되 내 아들 압살롬아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아 하니
5) 요압이 집에 들어가서 왕께 말씀하되 왕께서 오늘 왕의 생명과 왕의 자녀의 생명과 처첩들의 생명을 구원한 모든 신복의 얼굴을 부끄럽게 하시니
6) 이는 왕께서 미워하는 자는 사랑하시며 사랑하는 자는 미워하시고 오늘 장관들과 신복들을 멸시하심을 나타내심이라 오늘 내가 깨달으니 만일 압살롬이 살고 오늘 우리가 다 죽었더면 왕이 마땅히 여기실 뻔하였나이다
7) 이제 곧 일어나 나가서 왕의 신복들의 마음을 위로하여 말씀하옵소서 내가 여호와를 가리켜 맹세하옵나니 왕이 만일 나가지 아니하시면 오늘 밤에 한 사람도 왕과 함께 머물지 아니할지라 그리하면 그 화가 왕이 젊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당하신 모든 화보다 더욱 심하리이다
8) 왕이 일어나 성문에 앉으매 혹이 모든 백성에게 고하되 왕이 문에 앉아 계시다 하니 모든 백성이 왕의 앞으로 나아오니라 이스라엘은 이미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더라.
[삼하 19:1] 혹이 요압에게 고하되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울며 슬퍼 하시나이다 하니
▶ 혹이 요압에게 고하되 - 이는 성내에 있던 한 사람이
이제 막 전쟁터로부터 회군(回軍)하여 돌아오는 요압에게 달려가
다윗 왕의 동정(動靜)을 보고한 사실을 의미한다.
이 사람이 이처럼 요압에게 달려가 왕의 슬픔을 알린 이유는
개선하는 군사들을 맞이하는 대대적인 환영식(歡迎式)이 없는 데 대하여
요압과 군사들의 오해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었다(Lange).
▶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울며 - 여기서 `울며'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바카'는 `애곡하다',`호곡하다'는 뜻으로 곧,
`소리내어 크게 우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13:36 그가 말을 마치매, 보라, 즉시 왕의 아들들이 이르러 소리를 높여 우니 왕과 그의 모든 신하도 심히 비통하게 우니라;
창 45:14 자기 동생 베냐민의 목을 껴안고 우니 베냐민도 요셉의 목을 껴안고 우니라;
신 21:13 또 포로의 의복을 벗고 네 집에 거하며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를 위하여 한 달 동안 애곡할지니 그 뒤에 네가 그녀에게로 들어가 그녀의 남편이 되고 그녀는 네 아내가 되리라;
스 10:1 이제 에스라가 하나님의 집 앞에서 울며 엎드려 기도하고 자백할 때에 이스라엘 중에서 남자와 여자와 아이들의 큰 무리가 그에게 모였으니 이는 백성이 심히 크게 울었기 때문이더라;
왕하 20:3 오 주여, 간청하오니 내가 진실함과 완전한 마음으로 주 앞에서 걸었으며 또 주의 눈앞에서 선한 것을 행하였음을 이제 기억하옵소서, 하고 통곡하였더라;
22:19 내가 이곳과 이곳의 거주민들을 대적하여 말한 것 즉 그들이 황폐한 자가 되고 저주거리가 되리라고 말한 것을 네가 들을 때에 네 마음이 연하여 네가 주 앞에서 네 자신을 낮추며 네 옷을 찢고 내 앞에서 울었으므로 나도 네 말을 들었노라. 주가 말하노라;
애 1:2 그녀가 밤에 심히 울매 그녀의 눈물이 뺨에 흐르는도다. 그녀의 사랑하는 자들 가운데 그녀를 위로하는 자가 그녀에게 없으며 그녀의 친구들도 다 그녀를 배반하고 그녀의 원수가 되었도다).
[삼하 19:2] 왕이 그 아들을 위하여 슬퍼한다 함이 그 날에 백성들에게 들리매 그 날의 이김이 모든 백성에게 슬픔이 된지라
▶ 그 날에 백성들에게 들리매 - 압살롬의 군대를 쳐부수고 돌아오는 그 날,
요압에게 보고된 사실이 개선(凱旋)하는 군사들에게
소문으로 널리 알려졌다는 말이다.
▶ 그 날의 이김이 모든 백성에게 슬픔이 된지라 - 이는 승전(勝戰)한
다윗의 군사들이
매우 처량한 모습으로 돌아오는 장면을 보여 주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지도자 한사람의 절제되지 못한 감정 처리가
공동체에 심각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이김'에 해당하는 `테슈아'란 말은
어떤 고통이나 속박 또는 멍에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구원' 또는 `구출'을 가리키는 전쟁 용어이다.
[삼하 19:3] 그 날에 백성들이 싸움에 쫓겨 부끄러워 도망함 같이 가만히 성으로 들어가니라
▶ 부끄러워 도망함 같이 가만히 성으로 들어가니라 - 이는 승전한 군사들이
마치 패잔병(敗殘兵)들처럼 슬며시 입성(入城)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특히 여기서 `부끄러워'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기본 동사 `칼람'은
더러운 죄를 범한 사람이 자기의 죄를 부끄러워 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
(겔 16:27 그러므로, 보라, 내가 내 손을 네 위에 내밀어 네가 먹는 평범한 양식을 줄이고 너를 미워하는 자들 곧 네 음탕한 길을 부끄러워하는 블레셋 사람들의 딸들의 뜻대로 너를 넘겨주었거늘,
61 그리하면 네가 네 자매들 곧 네 언니와 동생을 받아들일 때에 네 길들을 기억하고 부끄러워하리라. 내가 그들을 네게 딸들로 주려니와 네 언약으로 말미암아 주지는 아니하리라;
43:11 만일 그들이 자기들이 행한 모든 일을 부끄러워하거든 너는 그들에게 그 집의 형식과 양식과 나가는 곳들과 들어오는 곳들과 그것의 모든 형식과 모든 규례와 모든 형식과 모든 법규를 보여 주고 그들이 보는 데서 그것을 기록하여 그들이 그것의 모든 형식과 모든 규례를 지켜 행하게 하라;
사 45:16 그들은 부끄러움을 당하고 또 그들은 모두 당황하며 우상들을 만드는 자들은 함께 혼동에 빠지되).
따라서 이 말은 다윗의 군사들이 승전한 군사들의
떳떳하고 당당한 모습과는 정반대로
크게 죄를 지은 자들과 같이 초라하고 처량한 모습으로
입성하였음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이 구절에서 우리는 개선하는 군사들을 맞이하는
대대적인 입성식 또는 환영식이 전혀 없었을 뿐만 아니라
군사들조차도 대오(隊伍)를 맞추어 의기양양하게 입성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뿔뿔이 흩어져 입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Lange, The Interpreter's Bible).
[삼하 19:4] 왕이 얼굴을 가리우고 큰 소리로 부르되 내 아들 압살롬아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아 하니
▶ 왕이 얼굴을 가리우고 큰 소리로 부르되 - 이는 승전의 소식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18:28-32 아히마아스가 외쳐 왕께 아뢰되, 모두 평안하나이다, 하고 왕 앞에서 얼굴을 땅에 대고 엎드려 이르되, 주 왕의 하나님을 찬송하리로소이다. 그분께서 자신의 손을 들어 내 주 왕을 대적하는 자들을 넘겨주셨나이다, 하니
29) 왕이 이르되, 청년 압살롬이 무사하냐? 하매 아히마아스가 대답하되, 요압이 왕의 종 곧 당신의 종 나를 보낼 때에 큰 소동이 있음을 내가 보았사오나 무슨 일인지 알지 못하였나이다, 하니
30) 왕이 그에게 이르되, 옆으로 물러나 여기 서 있으라, 하매 그가 옆으로 물러나 서 있더라.
31) 보라, 구시가 와서 이르되, 내 주 왕이여, 소식이 있나이다. 주께서 이 날 왕을 대적하여 일어난 모든 자들에게 왕의 원수를 갚으셨나이다, 하매
32) 왕이 구시에게 묻되, 청년 압살롬은 무사하냐? 하니 구시가 대답하되, 내 주 왕의 원수들과 또 왕을 치려고 일어나 왕을 해하려 하는 자들은 다 그 청년과 같이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니라)
오직 압살롬의 죽음만을 생각하는
다윗 왕의 비통한 심경을 보여 주는 행동이다(Wycliffe Bible Commentary).
즉 여기서 얼굴을 가리운 것은 왕의 극한 슬픔을 나타내는 표시였으며,
(사 53:3 그는 사람들에게 멸시를 당하고 거부되었으며 슬픔의 사람이요, 고통을 잘 아는 자라. 우리는 그를 피하려는 것 같이 우리의 얼굴을 감추었으며 그는 멸시를 당하였고 우리는 그를 귀히 여기지 아니하였도다).
또한 큰 소리로 부르짖은 것은
도저히 억누를 수 없는 자신의 슬픈 감정을 터뜨린 행위였다.
▶ 내 아들 압살롬아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아 - 성경 문학상 감정을
점층적으로 고양시키는 반복법적(反復法的) 표현으로,
다윗의 호곡(號哭)이 지금도 생생히 들리는 듯하다.
이토록 다윗이 압살롬의 죽음에 대해 절규한 이유는
자신의 양심에 저리도록 사무치는 회한(悔恨)이 있기 때문이다.
즉 다윗의 처절한 애곡 속에는
단순히 아비로서 아들의 죽음에 대한 혈육의 정 뿐만 아니라
과거 자신이 지은 죄악의 보응이라는
심한 자책감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삼하 19:5] 요압이 집에 들어가서 왕께 말씀하되 왕께서 오늘 왕의 생명과 왕의 자녀의 생명과 처첩들의 생명을 구원한 모든 신복의 얼굴을 부끄럽게 하시니
▶ 요압이 집에 들어가서 왕께 말씀하되 - 업무를 전폐하고
압살롬의 죽음만을 비통해하는 다윗의 행동에 대해
정치적 불안을 느낀 요압은
민심(民心)의 동요를 우려하여 백성들의
대변인(vox populi)으로 자처하였던 것이다(Hertzberg).
비록 요압이 다윗의 깊은 심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약간 무례하고 강경한 어조로 항변한 것은 사실이지만(Smith),
당시 요압의 이러한 행동은
다윗 왕으로 하여금 그의 걷잡을 수 없었던 감정을
정리할 수 있게 해주었던 적절한 직언(直言)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왕의 생명과 왕의 자녀의 생명과 처첩들의 생명을 구원함 - 여기서 요압은
이번 전쟁의 승리로 말미암아 왕과 그 전 가족의 생명이 구출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요압의 말은 사실이었다.
왜냐하면 만일 압살롬이 이번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완전히 장악했더라면,
그는 고대 근동 지방의 관습에 따라
선왕(先王)과 선왕의 전 가족들을
몰살시키고야 말았을 것이기 때문이다(Smith, Lange).
▶ 모든 신복의 얼굴을 부끄럽게 하시니 - 이는 아낌없는 칭찬과
대대적인 환영을 받아야 될 모든 군사들에게 오히려 수치를 안겨 준
다윗 왕의 처사를 책망하는 요압의 말이다.
즉, 여기서 요압은 승전한 군사들을
기쁘게 영접하고 칭찬하는 것이
왕의 중요한 임무였음에도 불구하고,
자기감정에 매여 오히려 군사들의 사기만 저하시킨
왕의 무책임한 처사를 날카롭게 지적하였던 것이다.
[삼하 19:6] 이는 왕께서 미워하는 자는 사랑하시며 사랑하는 자는 미워하시고 오늘 장관들과 신복들을 멸시하심을 나타내심이라 오늘 내가 깨달으니 만일 압살롬이 살고 오늘 우리가 다 죽었더면 왕이 마땅히 여기실 뻔하였나이다
▶ 미워하는 자 - 곧 다윗 왕을 거스려 반역을 일으킨 아들 `압살롬'을 가리킨다.
▶ 사랑하는 자 - 곧 다윗 왕을 위하여 목숨 걸고 싸워 압살롬의 군대를 쳐부순
`다윗 왕의 신하들'을 가리킨다.
▶ 오늘 장관들과 신복들을 멸시하심을 나타내심이라 - 이 구절에 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은
`오늘 당신은 당신에게 장관들과 신복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행하셨나이다'이다.
(F.R Fay).
즉 장관들과 신복들은 마치 존재하지도 않는 자들처럼,
다윗 왕은 그들에게 무관심으로 일관했다는 말이다.
▶ 만일 압살롬이 살고 왕이 마땅히 여기실 뻔하였나이다 - 요압의 말대로
만일 압살롬이 전쟁에서 승리했다면,
왕과 그 가족 모두는 압살롬의 손에 죽고 말았을 것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런데 다윗 왕이 이와 같은 결과를 참으로 바라고 있었던 양
표현한 요압의 이 말은 너무나도 무정한 말이었다(R. Payne Smith).
먼저 요압은 여기서 다윗의 슬퍼하는 심정을
올바로 이해함이 없이 거침없이 말하였다.
즉 다윗의 슬픈 감정은 단지 압살롬의 죽음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죄에 대한 뼈저린 뉘우침이기도 하였는데,
요압은 이러한 다윗의 속사정을 몰라주고 거침없이 말하였던 것이다.
또한 요압은 슬퍼하는 다윗의 감정을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였다.
왜냐하면 다윗 왕은 비록 지금은 슬퍼하고 있지만
이번 전쟁에서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숭리할 것을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이러한 말 속에서 요압의 거칠고 사나운 기질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이러한 요압의 사나운 비난은
오히려 다윗 왕으로 하여금 자기의 임무를 다시금 깨닫게 한
좋은 자극제(刺戟劑)가 되었다.
이는 요압이 비록 무정한 사람이긴 했지만,
백성들의 소리를 그대로 대변했기 때문이다.
[삼하 19:7] 이제 곧 일어나 나가서 왕의 신복들의 마음을 위로하여 말씀하옵소서 내가 여호와를 가리켜 맹세하옵나니 왕이 만일 나가지 아니하시면 오늘 밤에 한 사람도 왕과 함께 머물지 아니할지라 그리하면 그 화가 왕이 젊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당하신 모든 화보다 더욱 심하리이다
▶ 신복들의 마음을 위로하여 말씀하옵소서 - 이 구절의 원문을 직역하면,
`신복들의 마음에 말씀하소서'가 된다.
이는 곧 신복들의 불평을 달래면서 그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격려의 말을 해주라는 권면이다.
▶ 왕이 만일 나가지 아니하시면 오늘 밤에 한 사람도 왕과 함께 머물지 아니할지라 그리하면 그 화가 왕이 젊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당하신 모든 화보다 더욱심하리이다 -
혹자들(Josephus, Matthew Henry)의 주장처럼,
이는 요압이 자신의 반역 의사를 내비친 말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요압은 여기서 다윗 왕이 계속해서 자기의 슬픈 감정에만 휘말려 있으면,
자연적으로 민심이 동요하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되면 다시금 왕위를 노리는 반란이 이어지게 될 것이고,
이제 또다시 반란이 일어나게 되면 사태는 것 잡을 수 없이
악화될 것이라는 사실을 강도 높게 경고한 것이다.
[삼하 19:8] 왕이 일어나 성문에 앉으매 혹이 모든 백성에게 고하되 왕이 문에 앉아 계시다 하니 모든 백성이 왕의 앞으로 나아오니라 이스라엘은 이미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더라.
▶ 왕이 일어나 성문에 앉으매 - 고대 사회에서 성문(城門)은
매매, 행정, 집회 등의 주요 무대였다.
(룻 4:1-2 그때에 보아스가 성문에 올라가서 거기 앉았는데, 보라, 보아스가 말하던 친족이 지나가므로 보아스가 그에게 이르되, 어이, 아무개여! 돌이켜서 이리로 와서 앉으라, 하니 그가 돌이켜서 앉더라.
2) 또 그가 도시의 장로 열 명을 데려다가 이르되, 당신들은 여기 앉으라, 하니 그들이 앉더라;
삼상 9:18 그녀가 이르되, 당신의 여종이 당신의 눈앞에서 은혜 입기를 원하나이다, 하고 이에 그 여인이 자기 길로 가서 먹고 다시는 얼굴에 슬픔이 없었더라;
욥 29:7 그때에는 내가 도시를 가로질러 성문으로 나가기도 하며 내 자리를 거리에 마련하기도 하였느니라!;
암 5:10 그들이 성문에서 꾸짖는 자를 미워하며 올바르게 말하는 자를 몹시 싫어하는도다,
12 너희의 범죄가 많고 너희의 큰 죄가 많음을 내가 아노라. 그들이 의인을 괴롭히며 뇌물을 받고 성문에서 가난한 자를 외면하여 그들의 정당함을 묵살하느니라).
아울러 성문은
왕이 백성들과 만나는 장소였으며 왕의 재판(裁判) 장소였다.
(15:2 압살롬이 일찍 일어나 성문 길 옆에 서서 어떤 사람이든지 분쟁거리가 있어 왕에게 재판을 청하러 올 때에 그 사람을 불러 이르되, 너는 어느 도시 출신이냐? 하여 그가 말하기를, 주의 종은 이스라엘 지파들 가운데 하나에 속하나이다, 하면).
따라서 다윗 왕이 이곳(마하나임의성문)에 앉았다는 것은
자신의 임무를 다시 수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여기서는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온 군사들을 치하 격려하고
승리의 기쁨을 함께 나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우리는 다윗 왕의 올바른 깨우침을 볼 수 있다.
즉 요압의 권고가 비륵 거칠고 무정한 점은 있었으나,
다윗 왕은 그 말의 옳음을 인정하고 요압의 권면을 그대로 따랐던 것이다(Keil).
그러나 결국 다윗의 이 같은 결단이 있기까지에는
강권적인 하나님의 섭리와 위로가 있었을 것이다.
(시 40:17 비록 내가 가난하고 궁핍할지라도 주께서는 나를 생각하시나이다. 주는 나의 도움이시요, 나의 구출자시오니, 오 나의 하나님이여, 지체하지 마옵소서;
56:13 주께서 내 혼을 사망에서 건지셨나이다. 내가 하나님 앞에서 산 자들의 빛 가운데로 다니게 하시려고 주께서 내 발을 건지사 넘어지지 않게 하지 아니하시리이까?).
실로 인간의 사정을 그 당사자보다 더 깊이 이해하시는
하나님의 배려야 말로
진정 근심과 슬픔과 절망에 짖눌린 우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대상 28:9 내 아들 솔로몬아, 너는 네 아버지의 하나님을 알고 완전한 마음과 자원하는 생각으로 그분을 섬길지어다. 주께서 마음을 다 살피시고 생각으로 상상하는 바를 다 아시나니 네가 만일 그분을 찾으면 만날 것이로되 네가 만일 그분을 버리면 그분께서 너를 영원히 버리시리라;
잠 16:2-3 사람의 모든 길이 자기 눈에는 깨끗하나 주께서는 영(靈)들을 다시느니라.
3) 네 일들을 주께 맡기라. 그리하면 네가 생각하는 것들이 굳게 세워지리라).
▶ 모든 백성이 왕의 앞으로 나아오니라 - 이 말은 왕 앞에서
군대의 개선 행진이 있었으며, 또한 승리의 축제 분위기 속에서
왕과 백성들 간에 즐거운 대면이 있었음을 암시해 주는 말이다(Keil, Smith).
▶ 이스라엘은 이미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더라 - 여기서 `이스라엘'은
압살롬의 반역에 참가했던 무리들을 일컫는 말이다.
압살롬의 죽음으로 이들은 더 이상 저항할 명분과 기력을 상실하고
각자 뿔뿔이 흩어져 자기 장막(처소)으로 도피했던 것이다.
따라서 이제 나라는 평화를 되찾고, 새로운 상황으로 접어들게 되었던 것이다.
'Edengol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희는 내 형제요 내 골육이어늘 어찌하여 왕을 도로 모셔 오는 일에 나중이 되리요 (0) | 2021.11.15 |
---|---|
우리가 기름을 부어 우리를 다스리게 한 압살롬은 싸움에 죽었거늘 이제 너희가 어찌하여 (0) | 2021.11.14 |
내 아들 압살롬아 내 아들 내 아들 압살롬아 내가 너를 대신하여 죽었더면 (0) | 2021.11.12 |
왕이 가로되 소년 압살롬이 잘 있느냐 아히마아스가 대답하되 (0) | 2021.11.11 |
청컨대 나로 빨리 왕에게 가서 여호와께서 왕의 원수 갚아 주신 소식을 전하게 하소서 (0) | 202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