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engol 2

주께서 내게 은으로 밭을 사며 증인을 세우라 하셨으나 이 성은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나이다

거듭난 삶 2022. 12. 18. 00:07
728x90

예레미야의 기도

 

성 경: [32:16-25] 내가 매매 증서를 네리야의 아들 바룩에게 부친 후에 여호와께 기도하여 가로되

17) 슬프도소이다 주 여호와여 주께서 큰 능과 드신 팔로 천지를 지으셨사오니 주에게는 능치 못한 일이 없으시니이다

18) 주는 은혜를 천만인에게 베푸시며 아비의 죄악을 그 후 자손의 품에 갚으시오니 크고 능하신 하나님이시요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시니이다

19) 주는 모략에 크시며 행사에 능하시며 인류의 모든 길에 주목하시며 그 길과 그 행위의 열매대로 보응하시나이다

20) 주께서 애굽 땅에서 징조와 기사로 행하셨고 오늘까지도 이스라엘과 외인 중에 그같이 행하사 주의 이름을 오늘과 같이 되게 하셨나이다

21) 주께서 징조와 기사와 강한 손과 드신 팔과 큰 두려움으로 주의 백성 이스라엘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22) 그들에게 주시기로 그 열조에게 맹세하신 바 젖과 꿀이 흐르는 이 땅을 그들에게 주셨으므로

23) 그들이 들어가서 이를 차지하였거늘 주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며 주의 도에 행치 아니하며 무릇 주께서 행하라 명하신 일을 행치 아니하였으므로 주께서 이 모든 재앙을 그들에게 내리셨나이다

24) 보옵소서 이 성을 취하려 하는 자가 와서 흉벽을 쌓았고 칼과 기근과 염병으로 인하여 이 성이 이를 치는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으니 주의 말씀대로 되었음을 주께서 보시나이다

25) 주 여호와여 주께서 내게 은으로 밭을 사며 증인을 세우라 하셨으나 이 성은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나이다.

 

 

 

[32:16] 내가 매매 증서를 네리야의 아들 바룩에게 부친 후에 여호와께 기도하여 가로되

 

여호와께 기도하여 가로되 - 여기서부터는 예레미야의 기도가 시작되고 있다.

이 기도는 여호와를 찬양하는 장황한 서술로 시작되고,

 

(17-23절 슬프도소이다 주 여호와여 주께서 큰 능과 드신 팔로 천지를 지으셨사오니 주에게는 능치 못한 일이 없으시니이다

18) 주는 은혜를 천만인에게 베푸시며 아비의 죄악을 그 후 자손의 품에 갚으시오니 크고 능하신 하나님이시요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시니이다

19) 주는 모략에 크시며 행사에 능하시며 인류의 모든 길에 주목하시며 그 길과 그 행위의 열매대로 보응하시나이다

20) 주께서 애굽 땅에서 징조와 기사로 행하셨고 오늘까지도 이스라엘과 외인 중에 그같이 행하사 주의 이름을 오늘과 같이 되게 하셨나이다

21) 주께서 징조와 기사와 강한 손과 드신 팔과 큰 두려움으로 주의 백성 이스라엘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22) 그들에게 주시기로 그 열조에게 맹세하신 바 젖과 꿀이 흐르는 이 땅을 그들에게 주셨으므로

23) 그들이 들어가서 이를 차지하였거늘 주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며 주의 도에 행치 아니하며 무릇 주께서 행하라 명하신 일을 행치 아니하였으므로 주께서 이 모든 재앙을 그들에게 내리셨나이다),

 

 

이어서 적들이 예루살렘 성문에 가까이 와 있음에 대한

여호와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내용으로 결론지어진다.

 

(24절 보옵소서 이 성을 취하려 하는 자가 와서 흉벽을 쌓았고 칼과 기근과 염병으로 인하여 이 성이 이를 치는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으니 주의 말씀대로 되었음을 주께서 보시나이다).

 

 

그리고 여기서 예레미야는 또한 전()국토가 갈대아인의 침략에

황폐화될 시점에 여호와께서 밭을 사라고 명한 것에 대한 회의를 표명한다.( Thompson).

 

(25절 주 여호와여 주께서 내게 은으로 밭을 사며 증인을 세우라 하셨으나 이 성은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나이다)

 

 

 

[32:17] 슬프도소이다 주 여호와여 주께서 큰 능과 드신 팔로 천지를 지으셨사오니 주에게는 능치 못한 일이 없으시니이다

 

능치 못한 - 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팔라'

'너무 어렵다' 혹은 '경이롭다'는 뜻이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명령을 좇아 하나멜의 밭을 샀지만,

갈대아군이 포위하고 있는 풍전등화와도 같은 당시 상황에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초자연적인 놀라운 권능으로 말미암아

15절의 말씀이 성취되리라는 소망을 간절히 붙들고 있는 모습을, 본절은 보여준다.

 

 

 

[32:18] 주는 은혜를 천만인에게 베푸시며 아비의 죄악을 그 후 자손의 품에 갚으시오니 크고 능하신 하나님이시요 이름은 만군의 여호와시니이다

 

주는 은혜를 천만 인에게 베푸시며 - 여호와의 무궁한 사랑인 '헤세드'

이제 수많은 사람들에게 베풀어질 것이다.

 

 

 

[32:19] 주는 모략에 크시며 행사에 능하시며 인류의 모든 길에 주목하시며 그 길과 그 행위의 열매대로 보응하시나이다

 

주는 모략에 크시며 행사에 능하시며 - '모략'은 히브리어 '에차'에 해당하는 말인데,

그의 목적이나 계획을 뜻한다.

하나님의 계획은 참으로 크고 방대하다.

그리고 하나님의 행사는 강력하다.

따라서 어떤 사람도 하나님의 관심과 계획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32:20] 주께서 애굽 땅에서 징조와 기사로 행하셨고 오늘까지도 이스라엘과 외인 중에 그같이 행하사 주의 이름을 오늘과 같이 되게 하셨나이다

 

주께서 애굽 땅에서 징조와 기사로 행하셨고 여호와의

강력하고 위대한 행사와 능력이 그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실 때

일어났다는 사실이 회고되고 있다.

출애굽 때의 여호와의 강력한 능력은 그 후 이스라엘 문학과 종교에 깊이 새겨졌다.

 

 

 

[32:21] 주께서 징조와 기사와 강한 손과 드신 팔과 큰 두려움으로 주의 백성 이스라엘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본절의 어법과 말투는 출애굽 이야기와

그 외 다른 많은 구절에서의 내용과 비슷하다.

그리고 '큰 두려움'(우베모라 가돌)

애굽인들의 마음속에 심어 놓았던 공포를 가리킨다(Nicholson).

 

 

 

[32:22] 그들에게 주시기로 그 열조에게 맹세하신 바 젖과 꿀이 흐르는 이 땅을 그들에게 주셨으므로

 

그들에게 주시기로 그 열조에게 맹세하신 바 - 여기서는 이스라엘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게 된 역사적 사실이 회고되고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회고는 이어지는 내용

곧 이스라엘의 배은망덕한 행실과(23) 선명한 대조를 이룬다.

 

 

 

[32:23] 그들이 들어가서 이를 차지하였거늘 주의 목소리를 청종치 아니하며 주의 도에 행치 아니하며 무릇 주께서 행하라 명하신 일을 행치 아니하였으므로 주께서 이 모든 재앙을 그들에게 내리셨나이다

 

주의 도에 행치 아니하며 - ''에 해당하는 '토라'는 율법을 가리키는데,

이는 종종 인생이 마땅히 걸어가야 할 바른 길에 비유된다.

 

(5:33 주 너희 하나님께서 너희에게 명령하신 그 모든 길로 걸을지니라. 그리하면 너희가 살 것이요, 또 잘되고 너희가 소유할 땅에서 너희 날들을 길게 하리라;

 

30:21 너희가 오른쪽으로 돌이키든 왼쪽으로 돌이키든 네 뒤에서 나는 말을 네 귀가 들을 터인즉 이르기를, 이것이 길이니 너희는 그 길로 걸으라, 하리로다).

 

이스라엘의 죄악이 보다 심각한 것은,

그들이 하나님께로부터 생의 정로(正路)를 제시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의도적으로 거부하였기 때문이다(Calvin).

 

 

 

[32:24] 보옵소서 이 성을 취하려 하는 자가 와서 흉벽을 쌓았고 칼과 기근과 염병으로 인하여 이 성이 이를 치는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으니 주의 말씀대로 되었음을 주께서 보시나이다

 

이 성을 취하려 하는 자가 와서 - 이 기도를 하던 때에는 이미

포위 공격이 시작되었던 것 같다.

 

 

 

[32:25] 주 여호와여 주께서 내게 은으로 밭을 사며 증인을 세우라 하셨으나 이 성은 갈대아인의 손에 붙인 바 되었나이다.

 

밭을 사며 증인을 세우라 하셨으나 - 여기서는 기도의 결말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위기의 순간에 밭을 사라고 지시하신 이는

다름 아니라 여호와이시란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였으나

다시 한번 당혹감을 느끼고 있는 선지자의 모습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Thomp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