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네가 보는 것을 책에 기록하여 아시아에 있는 일곱 교회 곧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필라델피아, 라오디게아 교회에 보내라, 하시더라

거듭난 삶 2023. 3. 23. 00:07
728x90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계시 2

 

성 경: [1:11-13] 가로되 너 보는 것을 책에 써서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멜비아, 라오디게아 일곱 교회에 보내라 하시기로

12) 몸을 돌이켜 나더러 말한 음성을 알아 보려고 하여 돌이킬 때에 일곱 금 촛대를 보았는데

13) 촛대 사이에 인자 같은 이가 발에 끌리는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띠고(개역한글성경).

 

성 경: [1:11-13] 이르시기를,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라. 네가 보는 것을 책에 기록하여 아시아에 있는 일곱 교회 곧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필라델피아, 라오디게아 교회에 보내라, 하시더라.

12) 내가 돌아서서 나와 말씀하신 그 음성을 알아보려 하니라. 돌아설 때에 내가 일곱 금 등잔대를 보았는데

13) 그 일곱 등잔대의 한가운데에 사람의 아들 같으신 분께서 발까지 내려온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두르고 계시더라(KJV한글성경)

 

 

[1:11] 가로되 너 보는 것을 책에 써서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멜비아, 라오디게아 일곱 교회에 보내라 하시기로

 

[1:11] 이르시기를,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라. 네가 보는 것을 책에 기록하여 아시아에 있는 일곱 교회 곧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필라델피아, 라오디게아 교회에 보내라, 하시더라(KJV)

 

개역성경에는 일파와 오메가, 처음과 마지막, 아사아에있는 일곱 교회의 기록들이

빠져있음.

 

일곱교회 : 실제의 일곱교회, 교회 시대의 일곱 종류의 교회 형태,

교회(성도)의 일곱 가지 속성,

교회사의 일곱 교회(?)

 

가로되 너 보는 것을 책에 써서. - '써서'에 해당하는 헬라어 '그랖손'

부정과거 명령형으로 즉각적인 이행을 촉구하는 표현이다.

 

이는 특별히 히브리 예언 방식으로, 본서에서 12회나 반복되어 사용됨으로

본서의 기록이 하나님의 권위로 되었음을 시사한다(Morris, Robertson).

 

에베소, 서머나, 버가모, 두아디라, 사데, 빌라델비아, 라오디게아 일곱 교회에 보내라 하시기로 - 본문에 제시된 교회의 명칭은

1:4에서 언급된 '일곱 교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각각의 교회에 보내진 특별한 메시지는 2,3장에서 동일한 순서로 나타난다.

('일곱 교회'에 대해서는 2,3장의 주석 참조).

 

특별히 기록된 말씀을 일곱 교회에만 보내라고 한 것은

그 도시들이 소아시아 중서부의 중심지이기 때문이며(Zean)

동시에 일곱 교회에 대한 메시지가

보편적으로 모든 교회에 해당되기 때문이다(Mounce, Lenski).

 

 

 

[1:12] 몸을 돌이켜 나더러 말한 음성을 알아 보려고 하여 돌이킬 때에 일곱 금 촛대를 보았는데(개역한글성경)

 

[1:12] 내가 돌아서서 나와 말씀하신 그 음성을 알아보려 하니라. 돌아설 때에 내가 일곱 금 등잔대를 보았는데(KJV)

 

일곱 금 등잔대 =일곱 교회

 

(1:20 곧 네가 본, 내 오른손에 있는 일곱 별과 일곱 금 등잔대의 신비라. 일곱 별은 일곱 교회의 천사들이요 네가 본 일곱 등잔대는 일곱 교회니라)

 

성경이 성경을 해석한다. 교회는 등불이 아니라 등잔대이다.

 

일곱 금 촛대를 보았는데. - 요한이 처음으로 본 것은

4:2의 환상과 비슷한 일곱 금 촛대로

 

(4:2 그가 내게 이르되, 네가 무엇을 보느냐? 하매 내가 이르되, 내가 보니, 보소서, 전부 금으로 된 등잔대가 있는데 그것의 꼭대기에 잔이 하나 있고 그것 위에 일곱 등잔이 있으며 일곱 등잔과 연결된 일곱 관이 그것의 꼭대기에 있나이다)

 

여기서 '촛대'에 해당하는 헬라어 '뤼크니아스'

세워 놓거나 달아매는 '등잔불'을 가리킨다.

 

(25:31 너는 또 순금으로 등잔대를 만들되 등잔대를 두들겨서 만들고 그것의 대와 가지들과 잔들과 둥근 꽃받침들과 꽃들을 같은 것으로 만들며;

 

왕상 7:49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곳 앞에서 오른쪽에 다섯 개, 왼쪽에 다섯 개씩 둘 순금 등잔대들과 또 금으로 된 꽃들과 등잔들과 부집게들과;

 

4:2 그가 내게 이르되, 네가 무엇을 보느냐? 하매 내가 이르되, 내가 보니, 보소서, 전부 금으로 된 등잔대가 있는데 그것의 꼭대기에 잔이 하나 있고 그것 위에 일곱 등잔이 있으며 일곱 등잔과 연결된 일곱 관이 그것의 꼭대기에 있나이다).

 

'일곱 금 촛대'는 스가랴서에서 이스라엘을 가리키는 반면에(4:2)

본문에서는 수신자들인 소아시아의 일곱 교회와 나아가 전세계의 보편적인

모든 교회들을 나타낸다(Mounce, Johnson, Kiddle).

 

(20절 곧 네가 본, 내 오른손에 있는 일곱 별과 일곱 금 등잔대의 신비라. 일곱 별은 일곱 교회의 천사들이요 네가 본 일곱 등잔대는 일곱 교회니라)

 

 

 

[1:13] 촛대 사이에 인자 같은 이가 발에 끌리는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띠고(개역한글성경)

 

[1:13] 그 일곱 등잔대의 한가운데에 사람의 아들 같으신 분께서 발까지 내려온 옷을 입고 가슴에 금띠를 두르고 계시더라(KJV)

 

영광 중에 있는 사람의 아들

 

(딤전 2:5 한 하나님이 계시고 하나님과 사람들 사이에 한 중재자가 계시니 곧 사람이신 그리스도 예수님이시라)

 

66년 만에 다시 봄..

그리스도는 땅에 있을 때 사람의 아들로 대언자, 지금은 사람의 아들로 제사장, 재림할 때는 사람의 아들로 왕, 제사장의 옷을 입고 계심.

 

 

촛대 사이에 인자 같은 이가. - '인자 같은 이'란 단7:13,14을 반영한 것으로

 

(7:13-14 내가 밤의 환상들 속에서 보는데, 보라, 사람의 아들 같은 이가 하늘의 구름들과 함께 와서 옛적부터 계신 이에게 나아가니 그들이 그를 그분 앞에 가까이 데려가니라.

14) 그분께서 그에게 통치와 영광과 왕국을 주시니 이것은 모든 백성들과 민족들과 언어들이 그를 섬기게 하려 함이라. 그의 통치는 영존하는 통치요, 없어지지 아니할 통치며 그의 왕국은 멸망하지 아니할 왕국이라)

 

계시자이신 그리스도의 '인성'을 고양시켜 표현한 것이다.

 

(7:56 이르되, 보라, 하늘들이 열리고 사람의 아들이 하나님의 오른편에 서 계신 것을 내가 보노라, 하매).

 

요한은 이 표현을 사용하여 그리스도의 인성은 물론

영광으로 고양된 그리스도의 모습을 암시하고 있다(Beas ley-Murray).

 

그리스도가 성전의 촛대 사이로 움직이시는 것은

그의 대제사장적 임재와 교회의 머리되심을 시사한다(Moffatt, Mounce).

 

발에 끌리는 옷을 입고. - '발에 끌리는 옷'

구약 시대의 제사장들이 착용한 예복으로

 

(28:4 그들이 만들 의복들은 이러하니 곧 흉패와 에봇과 겉옷과 수놓은 속옷과 관과 허리띠니라. 그들이 네 형 아론과 그의 아들들을 위하여 거룩한 의복들을 만들어 그가 제사장의 직무로 나를 섬기게 할지니라;

 

16:4 또 그는 거룩한 아마 속옷을 입고 살 위에 아마 반바지를 입으며 아마 허리띠를 띠고 아마 관을 쓸지니 이것들은 거룩한 의복들이니라. 그러므로 그가 물로 자기 살을 씻고 그것들을 입을 것이며;

 

6:1 웃시야 왕이 죽던 해에 또 내가 보니 주께서 높이 들린 왕좌에 앉으셨는데 그분의 옷자락은 성전에 가득하고)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직과 그의 권위와 위엄을 시사한다(Johnson, Mounce).

 

가슴에 금띠를 띠고. - 이 또한 대제사장 혹은 왕의 예복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28:8 에봇 위에 있는 에봇의 정교한 허리띠는 에봇을 만드는 방법대로 에봇과 같은 것으로 만들되 금실과 청색과 자주색과 주홍색 실과 가늘게 꼰 아마 실로 만들지니라;

 

29:5 의복들을 가져다가 아론에게 입히되 속옷과 에봇에 받쳐 입을 겉옷과 에봇과 흉패를 입히며 또 정교하게 만든 에봇의 허리띠를 띠게 하고)

 

권세를 가지신 메시야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렇듯 요한은 구약성경에 묘사된 대제사장과 왕의 모습을 빌어

그리스도의 위엄과 하나님의 아들로서의 신성을 나타내고 있다.

(Bruce, Johnson, Mounce, Morris, Iron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