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회개란 무엇인가 (1)
중생한 사람은 참으로 회개하게 된다.
1. 회개라는 말의 뜻
1) 구약에서의 말
(1) 나캄(후회한다)
“내가 귀를 기울여 들은즉 그들이 정직을 말하지 아니하며 그 악을 뉘우쳐서 나의 행한 것이 무엇인고 말하는 자가 없고 전장을 향하여 달리는 말 같이 각각 무엇인고 말하는 자가 없고 전장을 향하여 달리는 말 같이 각각 그 길로 행하도다”(렘 8:6)
(2) 수브(돌아온다)
“배역한 자식들아 돌아오라 내가 너희의 배역함을 고치리라 보소서 우리가 주께 왔사오니 주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심이니이다”(겜 3:22-23).
2) 신약에서
(1) 메타노이아(회개한다)
“거역하는 자를 온유함으로 징계할지니 혹 하나님이 저희에게 회개함을 주사 진리를 알게 하실까 하며”(딤후 2:25).
참 회개하는 자는 진리를 아는 지적인 변화가 있다.
“그러므로 너의 이 악함을 회개하고 주께 기도하라 혹 마음에 품은 것을 사하여 주시리라”(행 8:22).
회개에는 자아로부터 하나님께로 향하는 방향의 전환도 있다.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고후 7:10).
즉 참된 회개에는 경건한 애통이 따르게 된다.
(2) 에피스트로페이 (돌아온다.)
명사로는,
“저희가 교회의 전송을 받고 베니게와 사마리아로 다녀가며 이방인들의 주께 돌아온 일을 말하여 형제들을 다 크게 기쁘게 하더라”(행 15:3).
동사로는,
“이 백성들이 마음이 완악하여져서 그 귀는 듣기에 둔하고 눈을 감았으니 이는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마음으로 깨달아 돌이켜 내게 고침을 받음까 두려워 함이라”(마 13:15).
“그러나 내가 너를 위하여 네 마음이 떨어지지 않기를 기도하였노니 너는 돌이킨 후에 형제를 굿게 하라”(눅 22:32, 막 4:12). 요 12:40, 사도행전 28:27 등이 있다.
(3) 메타멜로마이 (뉘우친다)
“둘째 아들에게 가서 또 이같이 말하니 대답하여 가로되 싫소이다 하더니 그 후에 뉘우치고 갔으니”(마 21:30).
“요한이 의의 도로 너희에게 왔거늘 너희는 저를 믿지 아니하였으되 세리와 창기는 믿었으며 너희는 이것을 보고도 종시 뉘우쳐 믿지 아니하였도다”(마 21:32).
그 외에도
히브리서 7:21(저희는 맹세 없이 제사장이 되었으되 오직 예수는 자기에게 말씀하신 자로 말미암아 맹세로 되신 것이라 주께서 맹세하시고 뉘우치지 아니하시리니 네가 영원히 제사장이라 하셨도다),
마태복음 27:3 때에 예수를 판 유다가 그의 정죄됨을 보고 스스로 뉘우쳐 그 은 삼십을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에게 도로 갖다 주며,
고린도 후서 7:10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후회할 것이 없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회개를 이루는 것이요 세상 근심은 사망을 이루는 것이니라.
'인생과 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개란 무엇인가(3) (0) | 2013.08.19 |
---|---|
회개란 무엇인가 (2) (0) | 2013.08.18 |
니고데모는 거듭났는가? (0) | 2013.08.16 |
중생(거듭남)이란 무엇인가? (0) | 2013.08.14 |
소명이란 무엇인가? (0) | 201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