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멸망 2
예루살렘 함락 2
(성전 파괴와 성전 기물들의 훼손)
[렘 52:17-23] 갈대아인이 또 여호와의 전의 두 놋기둥과 받침들과 여호와의 전의 놋바다를 깨뜨려 그 놋을 바벨론으로 가져갔고
18) 또 가마들과 부삽들과 불집게들과 주발들과 숟가락들과 섬길 때에 쓰는 모든 놋그릇을 다 가져 갔으며
19) 시위대 장관이 또 잔들과 화로들과 주발들과 솥들과 촛대들과 숟가락들과 바리들 곧 금물의 금과 은물의 은을 가져갔는데
20) 솔로몬 왕이 여호와의 전을 위하여 만든 두 기둥과 한 바다와 그 받침 아래 있는 열두 놋소 곧 이 모든 기구의 놋 중수를 헤아릴 수 없었더라
21) 그 기둥은 한 기둥의 고가 십팔 규빗이요 그 주위는 십이 규빗이며 그 속이 비었고 그 두께는 사지놓이며
22) 기둥 위에 놋머리가 있어 그 고가 다섯 규빗이요 머리 사면으로 돌아가며 꾸민 그물과 석류가 다 놋이며 또 다른 기둥에도 이런 모든 것과 석류가 있었으며
23) 그 사면에 있는 석류는 구십륙이요 그 기둥에 둘린 그물 위에 있는 석류는 도합이 일백이었더라.
성 경 : [렘 52:17-23] 갈대아인이 또 여호와의 전의 두 놋기둥과 받침들과 여호와의 전의 놋바다를 깨뜨려 그 놋을 바벨론으로 가져갔고
18) 또 가마들과 부삽들과 불집게들과 주발들과 숟가락들과 섬길 때에 쓰는 모든 놋그릇을 다 가져 갔으며
19) 시위대 장관이 또 잔들과 화로들과 주발들과 솥들과 촛대들과 숟가락들과 바리들 곧 금물의 금과 은물의 은을 가져갔는데
20) 솔로몬 왕이 여호와의 전을 위하여 만든 두 기둥과 한 바다와 그 받침 아래 있는 열두 놋소 곧 이 모든 기구의 놋 중수를 헤아릴 수 없었더라
21) 그 기둥은 한 기둥의 고가 십팔 규빗이요 그 주위는 십이 규빗이며 그 속이 비었고 그 두께는 사지놓이며
22) 기둥 위에 놋머리가 있어 그 고가 다섯 규빗이요 머리 사면으로 돌아가며 꾸민 그물과 석류가 다 놋이며 또 다른 기둥에도 이런 모든 것과 석류가 있었으며
23) 그 사면에 있는 석류는 구십륙이요 그 기둥에 둘린 그물 위에 있는 석류는 도합이 일백이었더라.
[렘 52:17] 갈대아인이 또 여호와의 전의 두 놋기둥과 받침들과 여호와의 전의 놋바다를 깨뜨려 그 놋을 바벨론으로 가져갔고
▶ 두 놋기둥과 받침들과 여호와의 전의 놋바다 - 본절에 언급되어 있는
성전 기구들은 왕상7:15-39에 나온다.
(왕상 7:15-39 그가 놋 기둥 두 개를 부어 만들었는데 그 높이는 각각 십팔 큐빗이요, 십이 큐빗 되는 줄이 그것들 중 하나의 주위를 둘렀더라.
16) 또 그가 놋을 부어 기둥머리 두 개를 만들어 기둥들 꼭대기에 두었는데 한 기둥머리의 높이는 오 큐빗이요, 다른 기둥머리의 높이도 오 큐빗이었으며
17) 또 그가 기둥들 꼭대기 위에 있던 기둥머리들을 위해 바둑판 모양의 그물들과 사슬 모양의 화환 장식들을 만들되 한 기둥머리에 일곱 개, 다른 기둥머리에 일곱 개를 만들었더라.
18) 또 그가 기둥들을 만들었으며 또 그물 하나에 돌아가며 석류로 두 줄을 만들어서 꼭대기 위에 있던 기둥머리들을 덮게 하였고 다른 기둥머리에도 그리하였더라.
19) 또 그가 기둥들 꼭대기 위에 있던 기둥머리들을 주랑 안에 백합 모양으로 사 큐빗 되게 만들었더라.
20) 그 두 기둥들 위의 기둥머리들에는 그물 옆의 볼록한 부분 맞은편에 또한 위로 석류들이 있었으니 석류 이백 개가 다른 기둥머리 주위로 줄을 지어 있었더라.
21) 또 그가 그 기둥들을 성전의 주랑 앞에 세우니라. 그가 오른쪽 기둥을 세우고 그것의 이름을 야긴이라 하며 왼쪽 기둥을 세우고 그것의 이름을 보아스라 하니라.
22) 그 기둥들 꼭대기 위에는 백합 모양이 있었더라. 이와 같이 두 기둥을 만드는 일이 완성되니라.
23) 또 그가 바다를 부어 만들었는데 한 쪽 가장자리에서 다른 쪽 가장자리까지가 십 큐빗이더라. 그것은 사방으로 둥글며 그것의 높이는 오 큐빗이요, 삼십 큐빗 되는 줄이 그것의 주위를 둘렀더라.
24) 그것의 가장자리 밑에는 돌아가며 둥근 장식들이 일 큐빗마다 열 개씩 있어서 그것을 두르고 그 바다를 둘렀더라. 그 둥근 장식들은 바다를 부어 만들 때에 두 줄로 부어 만든 것이더라.
25) 그것은 열두 마리 소 위에 서 있었는데 세 마리는 북쪽을 향하고 세 마리는 서쪽을 향하며 세 마리는 남쪽을 향하고 세 마리는 동쪽을 향하였더라. 그 소들 위에 바다를 놓았고 그 소들의 뒷부분은 다 안으로 향하게 하였더라.
26) 바다의 두께는 한 손 너비만 하였고 그것의 가장자리는 잔의 가장자리같이 백합의 꽃들과 함께 만들었으며 그것은 이천 바스를 담았더라.
27) 또 그가 놋으로 받침대 열 개를 만들었는데 한 받침대의 길이는 사 큐빗이요, 너비는 사 큐빗이며 높이는 삼 큐빗이더라.
28) 받침대들의 작업이 이러하였으니 받침대들에는 테두리들이 있었고 그 테두리들은 가로대들 사이에 있었더라.
29) 가로대들 사이의 테두리들 위에는 사자와 소와 그룹들이 있었고 또 가로대들 위에 받침대가 있었으며 사자와 소들 밑에는 얇게 만들어 단 어떤 것이 있었더라.
30) 또 각 받침대에는 놋 바퀴 네 개와 놋 판들이 있었고 받침대의 네 모서리에는 지지대들이 있었으니 이 지지대들은 물두멍 밑에 그 얇게 만들어 단 모든 것 옆에 부어 만들었더라.
31) 그것의 입구는 머리 안에서 위로 일 큐빗 높이로 나와 있었으나 그 입구는 받침대를 만드는 일과 같이 일 큐빗 반 되게 둥글게 되어 있었으며 또 그것의 입구의 위에는 네모반듯하고 둥글지 아니한 조각한 것들이 그것들의 테두리들과 함께 있었더라.
32) 테두리들 밑에는 네 바퀴가 있었고 바퀴들의 축은 받침대에 연결되었는데 한 바퀴의 높이는 일 큐빗 반이었으며
33) 바퀴를 만드는 일은 병거 바퀴를 만드는 일과 같아서 그것들의 축과 통과 테와 살을 다 부어 만들었더라.
34) 한 받침대의 네 모서리에는 네 개의 지지대가 있었는데 이 지지대들은 받침대 자체와 하나로 되어 있었고
35) 받침대 위에 높이가 반 큐빗 되는 둥근 테두리가 있었으며 또 받침대 위에는 그것의 가로대들과 테두리들이 같은 것으로 되어 있었더라.
36) 그가 그것의 가로대들의 판들과 그것의 테두리들 위에 그룹과 사자와 종려나무를 새기되 각각의 크기에 따라 새기고 또한 사방에 얇게 만들어 단 것들을 새겼더라.
37) 이런 방법으로 그가 받침대 열 개를 만들었으니 곧 그것들 모두를 한 금형과 한 치수와 한 크기로 부어 만들었더라.
38) 그 뒤에 그가 물두멍 열 개를 놋으로 만들고 한 물두멍에 사십 바스를 담았으며 각 물두멍을 사 큐빗으로 하고 열 개의 받침대 위에 각각 물두멍을 한 개씩 놓으니라.
39) 또 그가 받침대 다섯 개는 그 집의 오른쪽에 두고 다섯 개는 그 집의 왼쪽에 두었으며 그 집의 오른쪽에 동쪽으로 남쪽을 향해 바다를 두었더라)
이 '두 놋기둥'에는 기둥 이름이 새겨져 있었는데,
하나는 야긴이었고 좌편에 세워진 기둥의 이름은 보아스였다.
그 꼭대기에는 백합화 형상이 있었다.
상세한 설명은 왕상 7:15-22을 참조하라.
'놋바다'는 왕상 7:23-26에,
그리고 '받침'에 대해서는 왕상 7:27-39에 언급되고 있다.
이 기둥의 용도가 어떠한 것이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아마도 제단의 불이나 화롯불을 담아두었던 것 같다.
이러한 기둥들은 수리아 신전 벽화를 보건대
B.C. 10세기경에 대단히 유행했던 것 같다.
[렘 52:18] 또 가마들과 부삽들과 불집게들과 주발들과 숟가락들과 섬길 때에 쓰는 모든 놋그릇을 다 가져 갔으며
▶ 가마들과 부삽들과 불집게들과 주발들과 숟가락들과 섬길 때에 쓰는 모든 놋그릇 -
'가마'는 조그마한 물건들을 이곳에서 저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었다.
아무튼 이곳에 언급되고 있는 여러 기구들은 크기가 상당했을 것으로 보인다.
놋바다의 직경은 약 456cm 정도되었다.
이런 기구들은 모두 놋으로 만들어졌는데,
당시에는 바벨론으로 옮겨갈 만큼 귀중한 것이었다(Thompson).
[렘 52:19] 시위대 장관이 또 잔들과 화로들과 주발들과 솥들과 촛대들과 숟가락들과 바리들 곧 금물의 금과 은물의 은을 가져갔는데
▶ 금물의 금과 은물의 은을 가져 갔는데 - 이를 직역하면,
'금이었던 것 - 금, 은이었던 것 – 은'이다.
아마도 이 말은 본절의 잔들, 화로들, 주발들, 솥들 등이
모두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져 있었음을 가리키는 듯하다.
금으로 만들어진 제기들이 출25:29 이하에 언급되고 있고,
(출 25:29 이하, 너는 그 상의 접시들과 숟가락들과 덮는 데 쓰는 덮개들과 대접들을 만들되 순금으로 만들지니라)
왕상 7:49 이하에는 이들 항목 중 대부분이 언급되고 있다.
(왕상 7:49 이하,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곳 앞에서 오른쪽에 다섯 개, 왼쪽에 다섯 개씩 둘 순금 등잔대들과 또 금으로 된 꽃들과 등잔들과 부집게들과)
[렘 52:20] 솔로몬 왕이 여호와의 전을 위하여 만든 두 기둥과 한 바다와 그 받침 아래 있는 열두 놋소 곧 이 모든 기구의 놋 중수를 헤아릴 수 없었더라
▶ 열 두 놋소 곧 곧 이 모든 기구의 놋 중수를 - 왕하 25:16에는
본절에 언급된 항목들이 나오지 않는다.
어떤 학자들은 놋으로 만들어진 열 두 소들이 한세기 반 전에
이미 앗수르의 공물로 보내졌기 때문에 본절이 첨가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설령 앗수르로 보내진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이것들은 그 이후에
다시 되돌려졌을 수도 있고
아니면 새로이 만들어졌을 수도 있다(Bright).
[렘 52:21] 그 기둥은 한 기둥의 고가 십팔 규빗이요 그 주위는 십이 규빗이며 그 속이 비었고 그 두께는 사지놓이며
▶ 한 기둥의 고가 십 팔 규빗이요 - 70인역(LXX)은 대하 3:15과 같이
기둥의 높이를 35규빗으로 기록하고 있다.
[렘 52:22] 기둥 위에 놋머리가 있어 그 고가 다섯 규빗이요 머리 사면으로 돌아가며 꾸민 그물과 석류가 다 놋이며 또 다른 기둥에도 이런 모든 것과 석류가 있었으며
▶ 그물과 석류가 다 놋이며 - 기둥의 장식이나 조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왕상7:16-20에 언급되어 있다.
이런 류의 장식은 대제사장의 의복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출 28:33 너는 그 옷의 단 밑으로 단의 주위로 돌아가며 청색과 자주색과 주홍색 실로 석류들을 만들고 또 그 단을 돌아가며 석류들 사이에 금방울을 달되).
한편 라스 삼라(Ras Shamra)에서 발견된 용기에서 보아 알 수 있듯이
이런 장식은 이스라엘 내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 주변 나라에서도 알려져 있었다.
[렘 52:23] 그 사면에 있는 석류는 구십륙이요 그 기둥에 둘린 그물 위에 있는 석류는 도합이 일백이었더라
▶ 그 사면에 있는 석류는 구십 륙이요 - 몇몇 세부적인 사항들은
왕상 7장의 내용과 다르게 표현되고 있는데,
아마 여기서는 예루살렘 함락 당시 바벨론으로 약탈되어 간
성전 기물들에 대한 대략적인 요약 진술을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본장의 기록 목적도 세부적인 사실 전달에 있었던 것이 아니며
아름답고 귀중한 것들이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고 하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이다(Thompson).
'Edengol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을 거역한 자들의 말로 2 (0) | 2023.02.11 |
---|---|
하나님을 거역한 자들의 말로 (0) | 2023.02.10 |
바벨론 왕의 어전 시위대 장관 느부사라단이 여호와의 전과 왕궁을 불사르고 예루살렘의 모든 집을 귀인의 집까지 불살랐으며 (1) | 2023.02.08 |
바벨론이 나의 재앙 내림을 인하여 이같이 침륜하고 다시 일어나지 못하리니 그들이 쇠패하리라 (0) | 2023.02.07 |
나의 백성아 너희는 그 중에서 나와 각기 나 여호와의 진노에서 스스로 구원하라 (1) | 2023.02.06 |